미군,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구호품 트럭 약탈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
미군이 현지시간 1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구호품 트럭 약탈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미군의 중동 내 군사작전을 총괄 지휘하는 중부사령부(CENTCOM)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은 전날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미국 공군이 보유한 MQ-9 리퍼 무인기(드론)로 촬영한 것.이 영상을 보면 ...
중구, 고향사랑기부제 누적 모금액 3억 원 돌파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의 고향사랑기부제 누적 모금액이 3억 원을 넘어섰다. 중구는 지난 10월 31일 기준으로 총 3억 500만 원이 모였다고 밝혔다. 중구의 연도별 고향사랑기부제 모금액은 2023년 6,400만 원, 2024년 1억 5,200만 원, 2025년 10월 말 기준 8,900만 원이다. 전체 기부자 2,848명 가운데 10만 원을 기부한 ...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캄보디아 프놈펜에 본사를 둔 금융그룹 '후이원'.
가상자산 거래소 '후이원 개런티'도 운영한다.
국내 5대 거래소와 2023년 주고 받은 가상자산은 총 922만 원어치.
그러나 지난해 송금 규모는 128억여 원, 1,400배 가까이 뛴다.
캄보디아에서 104억 원 들어왔고, 캄보디아로 23억 원 나갔다.
올해도 3월에서 5월 사이 거래가 막히기 전까지, 총 31억 원이 오갔다.
지난 5월 미국 재무부의 제재를 계기로 국내 거래소들도 후이원과 거래를 끊었다.
하지만, 그전까지 누가 왜 캄보디아 쪽으로 가상자산 송금을 대폭 늘렸는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프린스 그룹 등 '범죄단지' 배후 세력 관여 여부도 추적이 불가능.
한국은행은 세계 가상자산 불법거래의 64%가 스테이블 코인으로 이뤄진다고 밝혔는데, 한국과 캄보디아 간 오간 가상자산 거래의 99.9%는 미국의 스테이블 코인 '테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