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대토론회('05.3.16~18) 참가 광주시민 300명 대상 실시 ① 시민대토론회 참여 이유 : 조성사업 정책 및 추진계획에 대한 이해(32.0%)② 시민참여의 장 주제 : 문화산업 발전방안(23%) ③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만들기 주체 : 시민 및 시민단체(61.2%) ④ 추진과정에서 시민역할 : 분야별 커뮤니티 활성화(29.3%) 대통령 소속 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위원장 송기숙)와 문화관광부 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이 지난 3월16일~18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 조성 시민 대토론회' 개최기간 중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광주시민들은 광주 조성사업과 관련하여 '주체로서의 의식'이 높고 '다양한 분야의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의지를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금일 밝혔다. 이와 같은 사실은 조성위원회와 추진기획단이 문화기획전문조사단체인「기분 좋은 트렌드 하우스 QX」(대표 안이영노)에 의뢰, 지난 3월 16일~18일 광주5.18기념문화관과 광주MBC 공개홀에서 개최된 '광주 시민 대토론회'에 참석한 시민 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토론회에 참석한 대다수의 답변자들은 "정책에 대한 관심을 갖고자"(32.0%), "토론내용 청취와 이해하고자"(26.0%) 토론회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문화산업 발전방안', '환경 및 생태조성', '국내외 문화교류 네트워크 형성' 등의 주제도 시민 참여하에 논의의 장이 마련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광주 이미지는 "문화예술 도시"(37.6%)와 "민주항쟁의 도시"(36.4%)로 인식되고 있으나, 앞으로 문화중심도시 광주가 지향해야 할 도시상으로 '문화예술의 도시'로 설정하고 있었다. 이는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추진과 관련 각 항목별 기대정도를 묻는 설문에서도 도시이미지 제고에 대한 기대치(3.92/5점 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도 상응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광주 시민들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광주의 문화적인 이미지를 강화시켜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해석되어 그동안 추진기획단이 설정한 기본적인 목표와 방향성이 시민의 공감대를 얻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광주시민들의 '조성사업에 대한 시민의 주체의식'과 '시민참여 방안에 대한 요구'가 조사결과 높게 나타남에 따라, 금번 설문 조사를 실행한 기관에서는 다음과 같이 시민참여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시민참여 기본방안 - 시민참여 대상의 세분화(연령, 성별), 사업추진 단계별 중점 시민참여 프로그램 구분 - 시민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충분한 사전 홍보 실시 참여 프로그램 운영 방안 - 문화산업 개발을 위한 핵심인력 양성에 시민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기본적인 교육프로그램 실시 - 분야별 커뮤니티, 자원봉사 활동을 근본으로 하는 직접 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 사업 단계와 분야별로 정책 감시활동, 정책 제안과 같은 간접 참여 프로그램의 참여 시기와 참여 유무를 결정하여 시행 이번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추진기획단은 시민 참여 채널과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조성사업 전반적인 정책과정에서 시민의 의견을 청취 분석하기 위한 단계별 심층적 여론조사 또는 설문조사를 지속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추진기획단은 2004년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추석 전후로 광주시민 만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바 있는데, 참고로 지난 10월 여론조사와 단순 비교해 볼 경우 이번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사업에 대한 기대부분》에서 작년 9월 여론조사에서는 1) 경기활성화를 통한 소득증대, 2) 문화중심도시로의 광주이미지 높이기, 3) 어린이 등에게 좋은 교육, 문화환경 만들기 등에 기대가 컸었던 반면에, 이번 3월 조사에서는 1)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도시 이미지 제고, 2) 문화기반 시설 등의 인프라구축, 3) 국제적인 문화행사 유치 등에 대한 기대가 크게 나타났다. 《시민참여 부분》에 대해서도 지난 여론조사에서는 시민참여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원론적 차원의 논의에 머물러 있었던데 반해, 이번 조사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와 활동 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에 의견이 집중되어 사업이 보다 구체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보다 실질적인 참여방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