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 올해도 사업비 58억 투입.곡성 등 7개 군 대상으로 실시키로
전남도는 각종 재난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물류비용 절감 등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새주소사업’을 오는 2009년까지 모두 마무리하기로 했다. 8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순천시의 ‘새주소사업’을 완료했고, 현재 2008년 완료를 목표로 4개 시(목포, 여수, 나주, 광양)와 10개 군(담양, 고흥, 화순, 해남, 영암, 무안, 함평, 영광, 장성, 진도)에 대해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도는 올해에도 58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나머지 7개 군(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완도, 신안)에 대해서도 도로명판 및 건물번호판을 설치하는 등 오는 2009년까지 도내 ‘새주소사업’을 모두 완료할 계획이다. 현행 주소체계는 1910년대 일제시대 때 부여된 지번을 주소로 그대로 사용하면서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빈번한 토지의 분할과 합병 등으로 주소체계의 연속성이 결여돼 주소 찾기가 불편함으로써 교통 혼잡과 물류비용이 증가되는 등 불편이 이어져 왔다.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한 새주소 사업은 누구나 길 또는 건물을 쉽게 안내하고 찾을 수 있도록 도로마다 이름을, 건물마다 번호를 부여하고 도로명판과 건물번호판의 시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도로명을 부여할 때는 그 지역의 특성과 역사성, 독립유공자, 지역유명 인사 등을 명명한 후 주민 의견 등을 수렴해 도로의 일정 구간별로 도로명을 부여하고, 건물번호는 시작점에서 종점방향으로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 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또, 일시에 모든 주소를 새주소로만 사용하게 되면 국민적 혼란이 예상되므로 오는 2011년말까지는 현행 지번주소도 함께 법적주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고, 2012년부터는 새주소만 사용된다. 이기환 전남도 토지관리과장은 “앞으로 우편, 택배, 물류분야 등에 신속.정확한 위치정보 제공, 국제적 주소체계인 도로명 방식의 주소제도 시행과 시스템 구축 후 인터넷 안내서비스 등 주소인프라 구축으로 국민의 생활편리 향상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