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 올해 40% 목표위해 저농약 지원 축소 등 인증 단계별 차등지원
전라남도가 지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친환경농업이 정착단계에 접어듦에 따라 올해부터는 저농약을 줄이는 대신 유기농․무농약으로 재배단계를 높혀 나가기로 하고 이에 대한 인증 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전남도는 이 일환으로 1일 도와 시군친환경농업 담당공무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영암 친환경농업교육관에서 친환경농업 실천 대책 협의회를 갖고 저농약을 포함한 전체 친환경인증면적의 40% 이상을 유기농.무농약 인증으로 높여나갈 것을 결의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현재 2만6천135ha였던 전남도내 유기농.무농약 인증면적을 올해는 2배 많은 4만1천여ha까지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각종 친환경농업 지원정책을 차별화 해 친환경농업단지 조성 사업비의 경우 유기농은 ha당 160만원, 무농약은 140만원, 저농약은 100만원 차등 지원하고 지원 기간도 유기농.무농약은 5년간으로 하는 반면 저농약은 3년간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또 친환경농업 실천으로 인한 농가의 초기 소득 감소분 일부를 지원해주는 친환경농업직불금의 경우 유기농은 ha당 79만원, 무농약은 67만원, 저농약은 52만원으로 차등 지원하고 친환경농산물 인증에 따른 검사 비용의 경우 유기농.무농약은 실제소요 비용의 70%를 지원하고 저농약은 60%로 차등지원 키로 했다. 특히 매년 우수 시군을 선발해 시상하고 있는 친환경농업대상 평가는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적용 기준으로 유기농은 100%, 무농약은 80%, 저농약은 40%로 차등을 둬 유기농.무농약 실천에 관심을 갖고 정책을 집행해 나가도록 했다. 이와 함께 친환경농산물 인증관리 및 소비자 신뢰확보를 위해 시군과 광주.전남지역 소재 12개 민간인증기관과 협약을 통해 시군별로 1~2개 주력 민간인증기관을 지정, 생산과정에서 출하까지 인증 및 사후관리에 따른 제반사항을 책임있게 수행토록 적극 유도해나가기로 했다. 이뿐만 아니라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안심보험 제도를 도입해 농업인은 책임감을 갖고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고 소비자는 전남에서 생산되는 친환경농산물을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했다. 윤성호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유기농.무농약 친환경농업기반 구축 및 철저한 인증관리를 통해 소비자들이 믿고 찾을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 선진국 수준의 친환경농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