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이 사실상 전국적인 확산 단계에 돌입함에 따라 정부가 22일 오후 가축방역협의회를 열고 소와 돼지 등에 예방백신을 접종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22일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주재로 긴급 가축방역협의회를 열어 구제역 사태가 심각한 단계에까지 이르렀다고 판단, 구제역 예방백신을 접종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유정복 장관은 "오늘 회의에서는 구제역 확산을 방지하고, 청정국 지위를 조속한 시일 내에 회복한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비상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인식을 같이 하였고, 이를 위해 구제역 예방접종을 실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구제역 예방접종은 링 백신의 형태로 최소의 범위에서 실시하되, 구체적인 범위, 방법, 사후관리 등에 대해서는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논의한 후, 차기 가축방역협의회를 거쳐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최근 구제역 확산에 따라 비상한 대책이 필요했다"며 "이명박 대통령이 백신 접종을 검토하라고 한 바는 없다"면서 "개별적으로 여러 사안을 종합 검토한다고 보고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축산농가에서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 "정확한 사실 관계가 중요하다"며 "청정국 지위를 포기할 리는 없다"며 "백신 대상이 되는 농가에 대해 불이익이 갈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데 잘못 알려진 부분에 대해 정확히 정보를 제공해 우려되는 부분은 정부에서 같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링 백신은 일단 발원지를 중심으로 10km 반경 지역을 대상으로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백신 접종은 지난 2000년 구제역 당시 단 한 차례 사용했던 처방으로 예방접종 중단 뒤 최소 6개월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회복 신청이 가능해져 세계 각국이 꺼리고 있는 마지막 수단이다.
반면 살처분 · 매몰 방식은 마지막 구제역 발생 이후 3개월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청정국 지위가 회복된다.
가축 10만마리를 기준으로 백신을 처방하면 6억원 가량 비용이 드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에는 한우 300만마리, 돼지 1천만마리 정도가 사육되고 있다.
다만 백신을 접종하면 무차별적인 살처분을 하지 않아도 돼 정부와 농가의 부담은 줄어든다.
이러한 가운데 강원도 춘천의 한우 농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해 모두 45건으로 늘었으며 지금까지 1천289농가의 가축 22만4천605마리가 살처분 · 매몰돼 살처분 보상금만 2천300억원을 넘어서는 등 피해규모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