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박승환 이사장, 이하 “공단”)은 각 지자체마다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열악한 상수도 분야의 구조 개선을 위해 지방상수도 통합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국내 수도사업은 낡은 시스템과 영세한 규모 등 다양한 구조적 문제가 내재되어 있으며 높은 원가대비 낮은 요금, 이에 따른 만성적자, 시설 투자 미흡의 악순환이 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공단은 기존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 수원, 급수 인구 규모,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단위, 권역별로 지방상수도 통합 정책(163개→39개)을 추진 중에 있다.
지방상수도 통합 사업을 통하여 노후된 정수시설 개량과 자동화 설비의 도입, 시설 개량 등을 통한 인건비 절감과 대대적인 관망사업으로 누수를 저감하여 생산원가 절감 등 경영 수지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수돗물 서비스 격차가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특히, 강원남부권의 경우 '09년말 현재 42%의 낮은 유수율을 보이고 있으나, 지방상수도 통합사업의 일환인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는 2016년 이후에는 85%의 유수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30년까지 원·정수구입비가 약 975억원 가량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돗물의 생산에서 공급까지 운영관리 전문성을 강화하고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서비스 센터를 통합서비스센터(TSC, Total Service Center) 및 지역서비스센터(LSC, Local Service Center)로 구분·운영함으로써 입체적이며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환경공단 수도통합 T/F팀 강금배 팀장은 수도사업 통합은 “수돗물을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CO2를 줄이고 시설개선으로 가뭄 등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물 등 관내 2차 오염을 예방하여 국민들에게 질 높은 수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