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가 홍수 등 예방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원동면 용당리 당곡마을 일대 '당곡천 고향의 강 조성사업'이 해당마을 주민설명회부터 난항을 겪고있다.
15일 시에 따르면 최근 '당곡천 고향의 강 조성사업'에 따른 시와 실시설계를 맡은 (주)도하엔지니어링(이하 도하)은 원동문화체육센터에서 사업 관련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이 사업은 신곡마을부터 원동교(원동천 합류지점) 일대까지 약 3km에 걸쳐 247억원을 투입해 마을 하천(당곡천)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치수 목적으로 건설 예정에 있는 '제방'의 효과에 있어 마을 주민들과 도하측의 인식차이가 문제로 나타났다.
도하측은 "제방의 목적은 마을 침수 예방에 있는 만큼 마을 입구에서 약 130m 떨어진 곳에 수문 3개짜리 제방을 쌓아 물의 유입을 막고 1022호 도로와 제방 사이의 공간은 저수지로 활용한다면 낙동강 역류를 막아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많은 예산을 투입해 제방을 쌓는다 해도 홍수 예방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펴고있다.
주민들은 제방이 집중호우 시 마을에서 당곡천으로 흘러가는 물길을 막게 돼 오히려 마을의 침수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실제로 당곡마을은 장마, 태풍 등 집중호우로 인해 그동안 역류한 낙동강 물과 계곡물 등이 합류현상으로 침수 피해가 종종 발생했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특히 주민들은 도하측의 설명에 대해 집중호우 시 저수지의 저장 능력, 시간당 유량 증가 등에 대한 통계 분석 등 내용이 없어 도하측 주장을 신뢰하지 않고 있다.
박말태 시의원은 "주민들이 가장 염려하는 것은 홍수에 대한 피해에 있는 만큼 현재 수문 형태의 제방은 전면 재검토 할 사항"이라며 "다른 방식을 재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도하측은 "제방 구간을 다리 형태로 건설할 경우 사업의 기본 목적인 '치수'가 없어지게 되므로 결국 사업 자체를 시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같은 상반된 주장에 따라 재검토 후 다시 설명회를 갖기로 했으나 사업목적인 '치수' 문제와 '제방효과'를 놓고 어떤 결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