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지역 765㎸ 송전탑 공사를 둘러싸고 극한 대립을 하고 있는 한국전력과 단장면 등 4개 지역주민이 ‘민원협의’를 놓고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다. 한전측은 상당한 수준의 ‘진전’이, 주민측은 민원해결 운운하는 것은 주민 ‘기만’이라고 맞서고 있다.
한전은 지난 17일 ‘밀양지역 765㎸ 송전선로 건설 갈등해결 돌파구 마련’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을 내고 4개 면(面) 주민대표인 이장들과 민원 타결을 위해 협의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이 자료에서 한전측은 내년 2월 신고리 원전 3호기 가동에 맞춰 송전선로도 준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전 측은 구체적인 협의 결과를 밝힐 수 없지만 상당한 수준의 진전이 있고 곧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전 최규택 부장은 “이장을 중심으로 마을에 실제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 협력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성실하게 다각적으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4개 면 주민은 즉각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한전이 공사 강행을 위해 민원 협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처럼 포장해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장면 주민 고준길(70)씨는 “생존권과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생업을 포기한 채 대치하고 있는데 한전이 민원해결 운운하는 것은 주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4개 면 주민들은 한전이 주장하는 민원 협의내용을 확인한 결과, 한전과 개별적으로 접촉한 일부 이장이 마을의 고령자를 중심으로 민원 협의에 대한 서명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765㎸ 분신대책위 공동대표인 김준한 신부는 “주민 분신사태 이후 전혀 한전과 대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한전이 대책위를 불순세력으로 매도하고 있다”고 분노했다.
김 신부는 한전이 주민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하는 등 법적으로 대응한 상황에서 과연 민원 협의에 진정성이 있는지 반문했다.
양측 간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김응록 전 산외면 주민대책위원장은 “정부, 한전 등과 사태해결을 위해 협의를 하려던 4개 면 주민대책위도 주민들의 요구로 이미 지난 6월 3일자로 해체됐고 한전과 대화도 끊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보상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이 필요하지만 정부·정치권의 무관심으로 한전과 주민이 끊임 없는 공방만 거듭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