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주변에 흩어져 있는 부두 밖 컨테이너 야적장(ODCY) 통합 이전을 위해 만든 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가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감해 대책이 시급하다. 14일 부산항만공사와 ㈜양산ICD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15만개(약 6m짜리 컨테이너 기준)에 그쳤다.
양산ICD의 컨테이너 야적장의 연간 장치능력이 141만2000개인 것을 고려하면 처리능력의 10분의 1 수준으로 물동량이 급감한 것이다.
특히 부산항 신항과 북항, 의왕 컨테이너기지 등과 직접 연결되는 철도운송은 주당 처리량이 30여개에 그쳐 사실상 기능을 잃었다.
2000년 3월 화물유통촉진법에 따라 100억원의 자본금으로 17개 법인이 공동 설립한 내륙물류기지인 양산ICD는 매년 100만개가 넘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해오다 2009년 64만7000여개로 급감한 이후 매년 20∼30%씩 물동량이 줄고 있는 형편이다.
양산ICD의 물동량이 크게 줄어든 것은 부산항의 컨테이너터미널들이 대부분의 화물을 부두 안에서 처리하게 됐기 때문이다. 양산ICD는 부두 밖 컨테이너 야적장 기능을 하기 때문에 직격탄을 맞았다.
부산항의 새로운 중심으로 떠오른 부산항 신항의 배후물류단지가 크게 확충된 것도 양산ICD의 물동량 급감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문제는 물동량이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점이다.
부산항만공사의 한 관계자는 "보유하고 있는 양산ICD의 출자 지분과 시설운영권을 2009년부터 매각하려 하고 있지만 유찰을 거듭하고 있는 상태"라며 "부산항 물류에서 양산ICD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양산ICD 측은 사업다각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의원 입법으로 발의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 계류중인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양산ICD의 물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판매와 제조시설을 추가할 수 있도록 했다.
양산ICD의 한 관계자는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전체 67만여㎡ 땅 중 비어 있는 30% 정도에 제조나 판매시설을 지으면 기본 물류기능 활성화로 양산ICD가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양산ICD에 제조업체 등이 들어서면 양산지역 산업단지 분양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양산시와 양산상공회의소 등이 반대하고 있어 이마저 쉽지 않은 전망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