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국제공항을 두고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가 각각 활주로 연장을 포함한 공항활성화 사업 재검토를 위한 조사와 민영화를 위한 컨설팅 용역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정우택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새누리, 청주상당)이 17일 공개한 국토부‧한국공항공사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는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연장(2744m→3200m)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결과(B/C 0.32)를 포함한 청주공항활성화사업 재기획 조사용역을 다음해 예산에 세웠다.
반면 한국공항공사는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 전략수립 컨설팅 용역을 이달 말부터 다음해 4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수 년 동안 청주공항 활성화 사업예산이 지연된 것도 문제지만, 명확한 투자계획 없이 운영방향이 엇갈리는 연구용역을 추진하면서 정부가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공항활주로 연장을 비롯한 공항시설투자예산 59억원이 차질 없이 오는 2014년 예산안에 반영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해까지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청주공항을 살리기 위해서는 인프라 개선이 급선무라는 판단에서다.
정 의원은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국토부 대책도 없을뿐더러 안전성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적자폭을 완화하는 등 공항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형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 연장 사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실제 청주공항은 개항 이후 매년 적자를 기록 중이며 적자폭 역시 지난 2010년에만 잠시 줄어들었을 뿐 계속 상승세에 있는 실정이다.
그는 “청주공항 활주로는 현재 2744m로 국토부 비행시설 설계매뉴얼에 따른 B747-400기준 설계표준인 이륙활주로거리 3155m에 미달하는 실정”이라며 “게다가 비행장 설치기준에 의한 활주로 보호구역 내 충북선 철도가 운행을 하고 있어 안전성마저 위험이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청주공항 활성화 사업은 총사업비 1002억원이 필요한 사업이고 이에 따라 다음해 요구액은 120억원인데 이번에 반영된 것은 결국 활성화 재기획을 위한 예산 10억원 뿐”이라며 “여객청사 리모델링에 계획된 예산 59억원을 심의에 반영해 확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한편 한국공항공사는 청주공항 운영권매각 전략수립 컨설팅 용역을 통해 ▶공사에서 계속 운영하는 방안 ▶공사에서 출자한 출자사와 경쟁 유도 ▶선 공항활성화 후 민영화 추진 ▶재추진 등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