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보 태조어진 등 조선왕조의 숨결을 간직한 전주 경기전(사적 제339호)이 유료화 이후에도 방문객이 줄을 이어 1년 6개월 만에 ‘130만 관람’ 시대를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주시(시장 송하진)에 따르면 경기전 관람을 유료로 전환한 지난 2012년 6월 1일 이후 2013년 12월 31일까지 1년 6개월간 총 방문객은 120만9천 7백명이 다녀갔고, 2013년 한해동안 84만7천여명이 경기전을 다녀갔다는 분석이다. 이는 유료화 이후 월 평균 70,000여명이, 하루 평균 2,300여명이 경기전을 찾은 셈이다.
○ 타 지역 대표적 문화관광지인 서울 창경궁 63만명, 남원 광한루 94만명 등과 견주어 비슷한 수준임을 알 수 있어 경기전을 비롯한 전주 관광수요가 늘어가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경기전 유료화 이후 2012년 7개월간의 449,774명이 경기전을 찾았는데 2013년 6월에서 12월까지 531,734명이 경기전을 다녀가 동기간 대비 관람객이 18.2%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13년 유료관람객이 75만명으로 전체의 89.3%로 집계되었으며 9만명(10.7%)은 무료 관람객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의 92.9%인 78만7천명이 타지역 관광객이었고, 관람료 절반의 혜택이 주어지는 전주시민은 7.1%인 6만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3년 1년 동안 유료관람에 따른 입장료 수입은 6억5천8백만원으로 집계됐다. 유료화 이후 19개월 동안 약 10억원의 입장료 수입을 올렸고, 이중 10%는 문화재 보호기금으로 납부하였다.
월별로는 가정의 달 5월, 여름 휴가철인 8월과, 축제의 달 10월에 나란히 8만7천명, 10만1천명, 9만3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여행 비수기인 1~3월에도 5만명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요일별로는 평일 하루 2,000~3,000명이, 주말(공휴일포함)에는 이보다 3~4배가 높은 3,000~10,000명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 석가탄신일 연휴기간(5월 18일∼19일)에는 경기전 유료화 이후 처음으로 일일 관람객이 1만명을 돌파, 조선왕조의 품격을 느끼려는 인파로 발디딜 팀이 없을 정도였다.
이처럼 경기전 관람이 일부 사회단체에서 제기한 우려와 달리 유료화에도 되레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전주한옥마을이 세계적 관광명소로 자리하면서 조선왕실 유적을 통해 조선왕조 발상지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생생히 느끼려는 타지 관광객들이 대거 찾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