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가족 인도적인 문제 즉시 아무 조건 없이 이산가족 상봉 실현시켜야"
| ▲통일부 김의도 대변인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
정부는 북한의 국방위원회의 ´1월 30일 설을 계기로 해서 비방중상을 중단하자´는 제안에 대해 여론을 호도하려는데 대해서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17일 서울 세종로 청사에서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일단 자기들이 비방중상 중지 제의를 한 이후부터 멈춰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산가족 상봉이나 비방중상 중지, 실질적으로 설을 계기로 비방중상 중지를 하자고 얘기했지만 실질적으로 이행될지, 실질적으로 이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북한이 진정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원한다면 지금 당장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인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의도 대변인은 "남북 간 비방중상 중지 합의를 위반하면서 그동안 비방중상을 지속해 온 것은 바로 북한"이라면서 "북한은 불과 2주 전 신년사를 통해서 비방중상 중단을 주장하였으나, 그 이후에도 우리에 대한 비방중상과 위협을 계속해 왔다"고 말했다.
따라서 "남북 간에 신뢰는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점을 북한은 명심하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북방한계선을 침범하고, 서해에서 끊임없이 도발함은 물론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을 자행함으로써 한반도에 위기상황을 몰고 온 것이 북한이라는 것은 우리 국민은 물론 전 세계가 다 알고 있다"면서 "북한은 우리의 정당한 군사훈련을 시비할 것이 아니라, 과거 도발행위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를 먼저 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산가족 문제는 정치·군사적 상황과 연계될 수 없는 시급한 순수 인도적인 문제"라면서 "북한은 지금이라도 즉시 아무 조건 없이 이산가족 상봉을 실현시켜서 남북관계의 첫 단추를 풀어가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북한이 진정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관계의 발전을 바란다"면서 "이러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호응해 나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