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xml_: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최근 국회회관에서 ‘피난 시설 없는 아파트에 불이 나면 어디로 대피하나...’ 라는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에서 주민 절반 이상이 피난 시설 없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사실과 화재 시 이렇다 할 대책이 없다는 것에 참석자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소방 안전시설을 취약하게 해놓고 법령에 근거해 시공과 준공허가를 해주는 행정 당국의 태도에 어이가 없고 또 안전 대책에 안의 한 국가 안전재난처는 어떻게 주민의 안전을 지키려고 하는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
지금 아파트의 실정을 살펴보면 비상계단은 실내로 엘리베이터와 같은 위치에 있고 아파트 내부는 시공 때부터 베란다 확장으로 실내로 끌어 들어져 있다.
이 확장된 베란다 역시 내장재로 마감되고 마감된 내장재는 가연성 물질로 변해져 있다는 것. 시공 시 베란다는 불이나면 피신할 수 있는 대피 공간이었으나 확장 된 베란다는 가연성으로 변해 버린다.
불이 나면 우선 뜨거운 불길과 연기로부터 몸을 피해야하는데 피할 곳이 없다는 것이다.
비상계단은 연기길, 굴뚝으로 변하고 엘리베이터 사용은 위험천만 할 뿐 아니라 죽음의 공간이고 대피할 베란다도 없으니 아래로 뛰어내리다 추락사를 당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안전시설이라고 있는 것이 불이나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인데 과연 이 스프링클러에게 나와 가족의 안전을 맡길 수 있을까? 주민들이 입주시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확인할수있는가?
스프링클러의 안전한 가동 성능 여부를 아파트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체크할 수가 없다는 것이 또한 문제이다.
새 아파트 입주 전에 스프링클러의 성능을 점검하고 입주하는 세대는 단 한 세대도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 주민 모두는 정부와 허가 관청의 허가 사항과 시공 업체의 시공 기술을 믿고 아파트를 구입하고 믿고 살고 있다.
현 실정의 아파트 안전 시설이 취약하다면 주민들은 누구를 믿고 살아야하는가?
아파트는 점점 고층으로 올라가고 있다.
안전시설이 제로에 가까운 현실에 국민 반 이상이 살고 있는 우리의 아파트가 “피난 시설 없는 아파트, 불나면 나와 우리 가족은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안전재난처에 다시 한번 묻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