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수질오염 등 수질관리를 강화해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시는 26일 현대해상 5층 회의실에서 수질오염총량 담당 공무원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4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수질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는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의 적정이행 여부 등을 평가해, 그 결과 연차별 할당부하량을 초과하는 경우 개발계획의 변경과 추가 삭감계획 수립 등의 추가조치를 통해 목표수질 달성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도록 법률(금강수계물관리및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로 정해져 있다.
시는 2단계(‘11년~’15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에 따라 지난 2월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센터장 김종국 전북대교수)와 2014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용역을 수행해왔으며, 이날 그간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전주시의 관리대상 단위유역은 전주시 전 지역 및 그 영향권 지역으로, 세부적으로는 전주 A, 만경 A, 만경 B 등 3개 소유역으로 구분해 관리되고 있다. 단, 만경 A의 경우 목표수질을 달성하고 있어 이번 평가에서는 제외됐다.
용역 평가 결과, 전주A 소유역의 지난해 배출부햐량은 6,621.48㎏/일(잔여량 814.31㎏/일)로 할당부하량인 7,435.79㎏/일을 넘지 않아 할당부하량을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경B 소유역의 경우에도 배출부하량이 1,164.99㎏/일(잔여량 250.11㎏/일)로 할당부하량(1,415.10kg/일)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사업부서와 관계기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수질오염총량관리가 준수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관계기관들과 협력해 수질관리를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송탁식 전주시 환경과장은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전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를 해나갈 계획”이라며 “관계기관 및 사업부서에도 각종 사업 추진 시 오염삭감시설의 설치방안을 좀 더 적극적으로 강구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시는 ‘2014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 결과를 전라북도를 경유해 내년 3월말까지 환경부에 제출할 계획이며,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이 마무리됨에 따라 전라북도 3단계(‘16년~’20년) 기본계획에 의거한 전주시 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