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 일 앞으로 다가온 4·13 총선에서 의령·함안·합천 지역구가 결국 찢어졌다.
의령·함안·합천은 전년도 말 기준 인구가 14만 6845명으로 선거구 획정 인구 하한선을 충분히 넘어선 지역이다. 이런 지역을 거창·함양·산청 선거구에 합천을 포함시키고 의령·함안을 밀양·창녕 선거구에 갖다붙여 희생양으로 삼았다.
이는 양산이 인구 상한선인 30만 명을 넘기면서 경남의 의석이 1석 늘어났고, 여야 지도부와 정치개혁특위의 협상과정에서 기존 16석에 만족해야 한다는 논리에 애꿎은 의령·함안·합천 선거구가 유탄을 맞은 것이다.
그것도 지역 국회의원이 공석인 점을 악용해 빈집털이식 개편을 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허탈함과 좌절감, 분노에 휩싸였다. 심지어 총선 불참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공직선거법 제25조에는 국회의원 지역선거구는 인구·행정구역·지세·교통, 기타 조건을 고려해 획정하게 돼 있어 조건에 충족한 선거구를 조정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었다.
이 때문에 함안군의회 김정선 의장이 지난해 12월 21일 국회 앞에서 삭발로 지역민의 뜻을 알렸고, 지난 26일에는 의령군 서동 공원에서 차정섭 함안군수와 오영호 의령군수 등 1500여 명 주민이 ‘현행 선거구 지키기 결의대회’를 열었다.
|
이날 의령군의회 오용 의장은 “의령 선거구가 쪼개진다면 헌법소원을 해서라도 반드시 막고, 의령군민 대다수는 총선 투표에 참여하지 않을 각오까지 하고 있다”며 삭발했다. 그럼에도 의령·함안·합천 선거구 분해가 확정됐다.
주민들의 정치혐오가 심각해지지 않을까 우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