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기려다 성나게 하시지 말입니다
어른들 세계의 개그, 일명 ‘아재 개그’가 유행이다. KBS 개그콘서트에서는 아재 개그를 표방하는 코너가 인기를 얻고 있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적절한 타이밍에 치고 들어오는 단순한 아재 개그가 호응을 불러올 때도 있다. 깊은 생각 없이 바로 웃을 수 있는 것이 아재 개그의 매력이다.
그러나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모든 아재 개그가 환영받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유치하거나 썰렁하면 오히려 분위기를 깨고 ‘아재스럽다’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대중들을 상대해야 하는 정치인들이라면 이런 아재 개그의 유혹에서부터 벗어나야 한다. 잘못된 개그는 잠들기 전에 피식 웃게 하기보다는 화가 나 잠을 설치게 한다. 유권자의 표심을 잃을 수 있다는 점도 무시 못 한다. 정치인들이 펼쳤던 다양한 아재 개그들 중 화제가 됐던 사례들을 모아봤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는 4일 서울 종로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했다. 안 대표는 이날 ‘야권연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연대 물어보시면 고대 분들이 섭섭해 하신다”고 답했다. 연대(連帶)라는 단어를 연세대학교의 준말로 치환하고 이를 고려대학교와 엮은 답변이었다.
안 대표의 이런 발언은 처음이 아니다. 2014년 1월 안 대표가 무소속 의원이던 시절 김한길 당시 민주당 대표와 여의도 한 식당에서 회동을 한 적이 있다. 창당을 준비 중이던 안 의원은 회동 전 당 차원의 연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역시 “연대 얘기하면 고대 분들이 섭섭해 한다”고 맞받아친 적이 있다. 안 대표의 ‘아재 감각’은 2년이 지나도 그대로인 셈이다.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은 1월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해 패널들과 열띤 토론을 펼치며 입담을 뽐냈다. 각 국가를 대표하는 패널들이 정치인들을 소재로 한 농담을 소개하던 시간이었다. 나 의원 역시 한국의 정치 농담을 소개하며 “정치인이 한강에 빠지면 구할 거냐, 말 거냐”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어지는 나 의원의 답변은 ‘셀프 디스’에 가까웠다. 나 의원은 “빨리 구해야 한다. 물이 오염된다”고 말해 폭소 아닌 폭소를 자아냈다. 나 의원은 제20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서울 동작구 을 새누리당 후보로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