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 열풍’을 타고 국민의당 비례대표 2번으로 20대 국회에 입성한 오세정 당선자의 별명은 ‘천재 과학자’다. 경기고와 서울대 자연대를 수석 졸업한 그는 국내 물리학계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1984년부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지냈다. 2년 전 서울대 총장 선거에서 낙마한 경험이 있다.
윤혜빈 저자,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판기념회 개최
동구의회 윤혜빈의원[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윤혜빈 저자의 신간 『작은 목소리를 큰 희망으로』 출간을 기념하는 출판기념회가 오는 2025년 11월27일(목)저녁7시,동구청 2층 대강당에서 열린다고 밝혔다.이번 저서는 3년 동안 지역 현장에서 들려오는 작은 목소리를 더 넓은 사회적 공감과 희망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정 활동...
‘알파고 열풍’을 타고 국민의당 비례대표 2번으로 20대 국회에 입성한 오세정 당선자의 별명은 ‘천재 과학자’다. 경기고와 서울대 자연대를 수석 졸업한 그는 국내 물리학계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1984년부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지냈다. 2년 전 서울대 총장 선거에서 낙마한 경험이 있다.

Q. 내 정치의 원동력은.
A. 국가에 대한 보상. 여태까지 나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장학금을 받고 유학을 갔다. 서울대 교수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혜택을 누렸다. 서울대 총장에서 낙마했을 때 실망도 많이 했다. 이제는 국회의원으로서 사회에 ‘페이 백’(보상)을 하고 싶다.
Q. 20대 국회 중점 추진 과제는.
A. 연구개발(R&D) 자율성 보장. R&D 분야의 자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싶다. 관(官) 중심의 과학기술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이제는 민간이 주도해야 한다. 한국이 ‘바둑 강국’인 것은 정부에 바둑을 담당하는 부서가 없기 때문이다. 규제를 하면 안 된다. 패러다임 전환에 목소리를 낼 것이다.
Q. 나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A. 이공계 전문성. 국정 운영에서 이공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하지만 이공계 출신 국회의원은 드물다. 나는 누구보다 현장을 잘 안다.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통로가 되겠다. 정부는 인공지능(AI) 연구 활성화 방안으로 연구소를 설립하겠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행정을 해서는 안 된다. 현장을 알아야 효율적인 정책을 낼 수 있다.
Q. 정치적 최대 관심사는.
A. 인재 양성. 과학기술과 교육에 관심이 많다. 우리나라는 교육열은 높지만 인재를 만들지 못한다. 획일적 주입식 교육 때문이다. 대학에도 자율성을 줘야 한다. 교육부의 힘을 최대한 빼야 한다. 대학에 자율성을 주는 대신 책임감을 갖도록 하면 된다.
Q. 언제까지 정치를 할 것인가.
A. 4년만. 정치의 세대교체가 중요하다. 국회에는 새로운 사람들이 채워져야 한다. 그래야 세상이 달라진다. 나는 과학이라는 전문성을 갖고 국회에 들어왔다. 다음 국회에서는 다른 전문가가 들어오는 게 맞다. 폴리페서(polifessor)라는 비판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나는 학교와 정치를 분명하게 분리했다.
Q. 정당과 잘 맞는가.
A. 교수 집단보다 낫더라. 국민의당에서 영입 제안이 왔을 때 주변 반대가 심했다. “왜 진흙탕에 들어가느냐”는 것이었다. 나도 비슷한 생각이었다. 하지만 당 워크숍을 다녀와서 생각이 바뀌었다. 정치인들에게 둘러싸인 낯선 환경에서도 전혀 불편하지 않았다. 당의 문화가 합리적이라고 느꼈다. 원내대표 합의 추대도 원활하게 이뤄졌다. 오히려 고집만 피우는 교수 집단보다 낫다는 생각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