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와 장흥군은 19일 장흥 바이오산단에 입주할 축산물 도축․가공공장 건립 등 3개 기업과 총 69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른 새 일자리 창출 규모는 지역 주민 261명이다.
이날 장흥군청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최오진 빛그린식품㈜ 회장, 고재원 ㈜미르코리아 대표, 이형구 엔페이 대표, 김갑섭 전라남도지사 권한대행 행정부지사, 김성 장흥군수, 김복실 장흥군의장, 김광준․이충식 전남도의원, 채은아 장흥군의회 행정복지위원장, 지역 주민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최신 설비를 갖춰 정부의 거점 도축장으로 지정받은 빛그린식품㈜은 제2차 식육가공품 생산 등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장흥에 새 둥지를 틀게 됐다. 바이오산단 4만 1천200㎡ 부지에 600억 원을 투자해 2018년 말까지 1일 소 300마리, 돼지 3천 마리 규모의 축산물 도축시설과 가공공장을 건립한다. 또한 악취, 소음 등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총사업비 중 100억 원 가량을 환경 분야에 투자한다. 공장이 완공되면 186명의 새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그동안 장흥에는 도축시설이 없어 나주, 음성, 익산, 김해 등 타 지역에서 도축을 해왔으나, 이번에 도축시설이 들어서면 운송비 등의 절감으로 축산농가의 실질적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미르코리아는 광주 평동산단에서 축산물 가공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빛그린식품㈜에서 축산물 도축 시 발생한 축산 혈액을 이용, 가축사료 첨가제와 복합비료 등을 생산하기 위해 장흥에 추가 투자를 결정하게 됐다. 바이오산단 9천920㎡ 부지에 60억 원을 투자해 2018년 말까지 가축사료 첨가제 및 천연 아미노산 복합비료 제조공장을 건립한다. 시설이 완공되면 40명이 새 일자리를 갖게 된다. 이곳에서 생산된 가축사료 첨가제는 항균, 항염, 면역력 등이 뛰어나고 특히 호흡기 질병 예방에 탁월해 앞으로 안정적 판로 확보가 기대된다.
엔페이는 나주 소재 기업 ㈜차임이엔지에서 10여 년 동안 관련 기술을 배운 후 이번에 독립해 장흥에 새 둥지를 틀게 됐다. 바이오산단 1천653㎡ 부지에 30억 원을 투자해 2019년 말까지 제어반, 배전반, CCTV 등 제조공장을 건립한다. 공장이 완공되면 35명의 새 일자리가 창출된다.
김갑섭 권한대행은 “산업단지 활성화와 입주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장흥 바이오산단을 비롯한 도내 5개 산단을 ‘중소기업 특별 지원지역’으로 지정해 세제, 자금, 인력, 판로 지원 등의 특례지원을 하고 있다”며 “협약 기업이 성공하도록 장흥군과 함께 행정적 지원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성 군수는 “새로운 사업 추진을 위해 장흥 바이오산단에 투자를 결심해준 기업 대표들께 감사드린다”며 “지역과 기업이 상생하는 성공적 투자가 되도록 각종 행정적 지원과 애로사항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장흥 바이오산단은 이번에 3개 기업 투자협약으로 전체 분양 대상 120만 5천632㎡ 가운데 31만 2천828㎡가 분양돼 26%의 분양률을 보이고 있다. 장흥군은 한우 사육 규모가 4만 7천 마리로 군민 수(4만여 명)보다 많다.
 2026 울산 후기 일반고 입학전형 설명회 열어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2026학년도 울산광역시 후기 일반고등학교 입학 전형 요강 학부모 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고 고입 정보를 안내했다.       30일 울산과학관 빅뱅홀에서 열린 설명회에는 중학교 3학년 학부모와 교육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울산...
                            2026 울산 후기 일반고 입학전형 설명회 열어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2026학년도 울산광역시 후기 일반고등학교 입학 전형 요강 학부모 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고 고입 정보를 안내했다.       30일 울산과학관 빅뱅홀에서 열린 설명회에는 중학교 3학년 학부모와 교육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울산...
                    
                 울산교육청, 친환경 청사 만들기 전 직원 동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30일 오전 8시부터 청사 정문과 후문, 1층 중앙 현관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청사 만들기 홍보 활동(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행사는 기후 위기에 대응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는 교육청의 친환경 정책에 모든 직원이 함께 참여하도록 독...
                            울산교육청, 친환경 청사 만들기 전 직원 동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30일 오전 8시부터 청사 정문과 후문, 1층 중앙 현관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청사 만들기 홍보 활동(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행사는 기후 위기에 대응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는 교육청의 친환경 정책에 모든 직원이 함께 참여하도록 독...
                    
                 중문색달 해변
                        
                        진모살 사빈 뒤편은 주상 절리의 해안 단애로 되어 있으며, 해수욕장과의 사이에는 20여m 높이의 사구층이 발달되어 있다. 바다에서 운반된 모래가 해안 단애에 막혀 사구층이 높게 형성되었다. 사구의 기저부에서 정상부까지는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어 강한 에너지에 의해 절벽 기저부까지 모래가 이동되고 있다. 해수욕장 동쪽 끝에 우...
                            중문색달 해변
                        
                        진모살 사빈 뒤편은 주상 절리의 해안 단애로 되어 있으며, 해수욕장과의 사이에는 20여m 높이의 사구층이 발달되어 있다. 바다에서 운반된 모래가 해안 단애에 막혀 사구층이 높게 형성되었다. 사구의 기저부에서 정상부까지는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어 강한 에너지에 의해 절벽 기저부까지 모래가 이동되고 있다. 해수욕장 동쪽 끝에 우...
                    
                 120억 들여지은 경기 도서관
                        
                        기록은 인간의 지식과 지혜, 정보를 후대에 전달해주기 위해 존재한다. 특히 권력자, 통치, 외교, 군사, 종교 등과 관련된 기록은 공적인 필요성에 의해 오랫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각종 문서와 자료들을 오래 보전하기 위해 도서관이 생겨났다. 도서관을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장소로만 한정짓는다면, 그 기원은 문자의 사용 시.
                            120억 들여지은 경기 도서관
                        
                        기록은 인간의 지식과 지혜, 정보를 후대에 전달해주기 위해 존재한다. 특히 권력자, 통치, 외교, 군사, 종교 등과 관련된 기록은 공적인 필요성에 의해 오랫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각종 문서와 자료들을 오래 보전하기 위해 도서관이 생겨났다. 도서관을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장소로만 한정짓는다면, 그 기원은 문자의 사용 시.
                    
                 남해 다랭이 논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태의 계단식 논이 100여 층 형성되어 있다.다랑이란 매우 규모가 작은 논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특히 경..
                            남해 다랭이 논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태의 계단식 논이 100여 층 형성되어 있다.다랑이란 매우 규모가 작은 논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특히 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