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복궁 광화문지 및 월대 지역 발굴 조사결과 발표
고종2년에 중건된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의 정확한 위치와 규모가 확인됐다.

[어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경복궁 광화문지 및 월대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동안 제자리를 찾지 못했던 광화문의 위치와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였으며, 이와 연결되는 월대의 좌우 기단석과 어도를 확인하였다.

[월대 동편 기단 석렬] 원래 광화문의 위치는 한국전쟁 당시 소실되었다가 1968년 복원된 광화문이 있던 곳에서 남으로는 11.2m. 서쪽으로 13.5m 떨어진 곳이며, 경복궁의 축과 일치한다는 사실이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또한 이번 발굴에서는 광화문 앞 광장을 일컫는 월대도 발견되었는데 광화문 터 남쪽으로 연결되어 동서 너비 29.7m, 남북 확인길이는 8.3m로서 전체 추정길이가 52m인 점을 감안할 때 세종로 지하에 43.7m 정도가 더 묻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말했다. 이밖에 궁장(담장)지와 청자·백자·청화백자 등의 도자기류와 다수의 기와편도 함께 발견되었고, 일제시대 만들어진 전체 선로(침목) 일부분과 전신주(목제)의 흔적도 확인되었다.

[전경] 한편, 문화재청은 광화문터 발굴 전 발견된 동쪽 담장의 홍예 및 어구는 새로 만들어진 인도에 국민들이 현장을 관람할 수 있도록 구름다리를 만들고 유리를 설치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향후 광화문과 담장의 복원 시에 구체적인 전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