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북부경찰서, 명촌동 ‘안전하길’ 조성 사업 완료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북부경찰서가 울산자치경찰위원회와 공동으로 추진한 '명촌 안심하길 조성사업'을 지난 10월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지역 주민들의 안전과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사업은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를 적용, 약 1억 2천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어둡고 불안했던 명촌동 일대의 치안 환경을 혁...
현직 경찰 중간 간부가 경찰대 폐지를 요구하는 글을 경찰 내부망에 게재했다. 경찰 안팎에서 존폐 논란이 계속됐던 경찰대도 연내에 개혁안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경찰대 폐지 글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고 한국일보가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충북경찰청 소속 A경위는 지난 9일 오후 경찰 내부망에 '경찰대학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장문의 글을 게시했다..
그는 순경 입직자 상당수가 학사 졸업 후 시험을 거친다는 점을 언급하며 "경찰대 출신의 경우 졸업과 동시에 아무런 인증절차 없이 곧바로 경위로 입직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경찰계급은 11단계(순경, 경장, 경사, 경위, 경감, 경정, 총경, 경무관,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로 이뤄져 있다.
그는 또 경찰대 출신 상당수가 졸업 후 경찰이 아닌 다른 진로를 모색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군 면제는 물론, 학비 면제, 급여 수령 등 수많은 혜택을 누리면서도 경찰대를 본인 성공의 발판으로만 여기고 있다"며 "일정 기간 내 이직하는 졸업생들에겐 군 면제 취소, 급여 반납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찰대는 폐지하고, 경찰대학원으로 명칭을 바꿔 입직한 경찰관의 교육기관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본인은) 퇴직해 경찰조직을 떠나지만 경찰 발전을 위해 제언한다"고 덧붙였다.
A경위 게시글은 "이제 때가 됐다" "(경찰대 출신은) 졸업 후 승진에만 몰두하고 경찰조직에 아무런 기여가 없다"는 등 경찰대 폐지에 찬성하는 수십 개 댓글이 달렸으며, 반면 "없는 집 자식들이 학비 없이 최고 대학 다닐 수 있다"며 존치를 주장하는 반박 댓글도 일부 달렸습니다.
경찰대는 인식조사 등을 바탕으로 11월 중 경찰대 개선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