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북한은 지난 2월 12일 평북 구성에서 중거리미사일 북극성-2형(사거리 2000㎞) 발사를 시작으로 이달 15일 화성-12형(사거리 5000㎞) 추정 미사일 발사에 이르기까지 올해에만 16차례에 걸쳐 최소 22발의 각종 미사일을 발사했다. 국책연구소 발간 자료와 전문가 조언을 바탕으로 본지가 분석한 결과,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약 4억달러(약 4500억원)에 달한다.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작년 말 발간한 '김정은 집권 5년 실정(失政) 백서'에 따르면, 북한제 스커드(사거리 300~700㎞인)의 수출 가격은 기당 500만~700만달러, 노동(사거리 1300㎞)은 1000만달러다. 백서는 이를 근거로 사거리 3500㎞의 무수단은 기당 2000만달러로 추정했다.
미사일 가격은 양산 전(前)이냐 후(後)냐에 따라 계산법이 다르고, 생산 단가냐 수출 가격이냐의 차이도 크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이 쉽지 않다. 국책연구소 관계자는 "(생산 가격을 기준으로 한) 순수한 미사일 단가는 탄두, 엔진, 연료, 산화제 비용을 합친 것"이라며 "사거리가 길수록 엔진 성능이 좋아져야 할 뿐 아니라 개수도 많아지고, 100% 수입에 의존하는 연료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가격은 대체로 사거리에 비례한다"고 했다. 우리가 자체 생산해서 군에 납품하는 사거리 300㎞의 국산 현무-2A 미사일 단가는 약 200만달러, 사거리 500㎞의 현무-2B는 약 400만달러다.
이를 근거로 북한이 올해 쏜 미사일들의 단가를 추정해보면, 지난 3월 6일 4발을 쏜 스커드ER(사거리 1000㎞)은 700만~1000만달러, 2월과 5월에 각각 1차례씩 쏜 북극성-2형은 1500만달러, 4월 이후 총 6발(3발 성공)을 쏜 화성-12형은 약 3000만달러, 7월에 2차례 쏜 화성-14형(사거리 1만2000㎞ 이상)은 최소 5000만달러로 계산된다.
북한은 이 밖에도 무수단 1발, 대함미사일 1발 등 스커드 계열 4발, 지대공미사일 1발, 2발 이상의 지대함 순항미사일을 쐈다. 이를 합산하면 3억8000만~4억달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