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울산시(시장 김기현)는 ‘벼루장’을 울산시 무형문화재(제6호), ‘백양사 칠성각’을 울산시 문화재자료(제30호)로 오는 2일 각각 지정 고시한다고 밝혔다.
‘벼루장’의 보유자는 유길훈(68세)씨로 울주군 언양읍 소재 ‘언양록석 벼루공방’을 운영하고 있다.
유 씨는 1949년 평양에서 출생해 한국전쟁 당시 피난길에 올라 충북 청주에 정착했다. 1967년 청주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평소 손재주가 남달랐던 덕에 주변인의 추천으로 1967년 3월 당대 최고의 벼루장인 고(故) 황곡(黃谷) 김인수(1908~1972)의 문하에 입문해 지금까지 50년간 벼루 제작을 하고 있다.
유길훈 씨 벼루의 특징은 스승의 영향으로 진천 상천벼루의 전통을 잘 계승하면서 새로운 문양도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문양으로는 용, 봉황, 매ㆍ란ㆍ국ㆍ죽, 십장생, 포도, 도화, 일월연, 산수연 등으로 다양하고 울산과 반구대와 연관된 문양도 제작하고 있다. 이 벼루들은 주로 40~60cm 정도로 큰 편이고, 문양은 사실적이며 입체적인 큰 문양을 강조함으로써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입문 당시의 전통 제작 도구뿐만 아니라 스승에게 받은 도구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현재도 당시의 전통방식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장을 만들어 작업하고 있다.
특히 울산 반구대 일원에서 채취된 벼룻돌로서 최상의 석재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형문화재로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벼루장은 2016년 ‘무형문화유산 전수조사 용역’ 결과 무형문화재로 지정가능한 종목으로 선정된 7종목 중의 하나이다.
『백양사 칠성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이며 일제강점기인 1930년에 세워진 백양사의 부속 전각으로 백양사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고건축물이다.
지붕의 기와와 하부 석재기단의 교체 등 수차례 수리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구조부의 변형도 없이 원형을 잘 갖추고 있다.
특히, 내부 단청의 경우 근대 단청기법을 사용한 것이고 벽화 또한 잘 남아 있어 당시 건축기법과 단청연구에 학술적 자료로 가치가 높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의 역사와 문화를 대변할 수 있는 문화재의 지정은 시민들의 역사문화에 대한 자긍심이다.”며 “더 다양하고 많은 지정문화재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문화재 지정으로 울산광역시 지정 문화재는 114건에서 116건 늘어났다. 국가지정문화재를 포함한 울산광역시 문화재는 총 143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