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재 사재기에 이어 도둑까지 극성을 부리는 등 ‘쇠 파동’이 심화하면서 업계는 물론 자치단체의 자구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충남도 관련업계에 따르면 ‘쇠’도둑이 중장비까지 동원해 공사현장에 있는 철근과 고철 더미를 싹쓸이, 현장 관계자들은 당직 근무조까지 편성해 철재를 지키느라 밤을 지새고 있다.
지난달 26일 밤 대전 유성구 관평동 문화재연구원 신축공사장에서 강관 파이프 등 1톤 화물차 1대 분량의 철재를 도난당했다. 현장 관계자는 “전날 야적장 진입로에 모래를 뿌리고 퇴근했는데 아침에 출근해보니 현장에 차량 바퀴자국에 남아 있는 것으로 미뤄 범인들이 화물차를 동원해 철재를 훔쳐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19일 밤에도 인근의 대덕테크노밸리 1차 산업용지 내 한 기업체에서 보관 중이던 공사용 철근 20여톤이 통째로 도난당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20여톤의 철근을 옮기기 위해서는 최소한 크레인이 부착된 8톤 차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가 신축공사장이 밀집한 서구 둔산동과 만년동 일원에서도 최근 철근과 강관 파이프 등이 밤새 감쪽같이 없어지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경찰은 건축자재 전문절도단의 소행으로 보고 동일 수법 전과자 등을 상대로 탐문수사를 벌이고 있다
한편 대전시와 충남도는 원자재 구입에 애로를 겪고 있는 업계를 돕기 위해 범시민 고철 모으기에 나섰다.대전시는 토요일마다 가정 및 기업에 방치된 고철을 수거하고, 4월부터 1일과 15일을 중점 수거의 날로 정해 각 사회단체와 공동으로 시민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시는 지하철건설본부와 상수도본부 등이 보유한 폐 철강재를 처분해 지역 제조업체가 우선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 또 철강재 관련 중소기업에게 3억원까지 원자재 구입대금을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간 만기도 연장해주기로 했다.
충남도도 도내 16개 시ㆍ군 및 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등과 함께 ▦고철 등 건설용 재활용자재 책임담당제 운영 ▦발생된 폐철재 전량회수 노력 ▦철근 사재기 단속 ▦상인과 협조를 통한 고철수집운동 등을 전개키로 했다.
대전시 김창환 경제정책과장은 “철강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사재기 현상까지 빚어져 자칫 지역 건설공사 중단이 우려된다”며 “고철 모으기 운동이 확산하도록 행정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