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주)(이하 KAI) 노동조합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회사 민영화를 반대하기 위해 비상투쟁위원회를 출범시킨데 이어 대규모 조합원이 상경투쟁을 벌이는 등 정면대응에 나섰다.
KAI 비상투쟁위원회는 23일 오후 2시 지식경제부가 있는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이날 상경투쟁에는 노동조합 1900여 명의 조합원 중 1550여 명이 참여했다. 이는 회사운영에 필요한 최소 인원을 뺀 대부분의 조합원들이 동참한 것으로 민영화 저지에 대한 의지의 강도가 대단함을 정부에 보인 셈이다.
KAI 비상투쟁위원회는 이날 주식 매각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 중인 지식경제부 장관에게 ‘부실 투기자본 배제, 방위산업 공공성 확보, 기업발전 제시, 부도덕한 노사 기업 배제, 종업원의 생존권 보장, 노동조합의 매각과정 참여 보장’ 등 6개항의 내용이 담긴 질의서를 전달했다. 특히, 비상투쟁위원회 정상욱 위원장은 정부가 추진중인 민영화에 대한 반대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즉석에서 ‘삭발식’을 거행했다.
그동안 KAI 비상투쟁위는 “특정 대기업이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인수에 나섰다”며 “지난 1999년 항공 3사가 통합된 뒤 13년 동안 6차례 임금 동결과 1000여 명의 동지들이 회사를 떠나는 구조조정 끝에 우량 기업이 됐고, 회사 부채비율도 800%에서 100%대로 낮아졌다. 이런 건실한 기업을 송두리째 대기업에 넘긴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 “최근 외국계 매각 자문사로 선정된 크레디트스위스는 BBK 김경준 다스 송금, 카메룬 다이아 대출, 이상득 의원의 아들 지형씨 회사의 주거래 금융사로 알려진 곳”이라며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지금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KAI 민영화는 ‘알짜 공기업’을 특정재벌에 주기 위한 특혜로 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KAI 비상투쟁위는 “조합원을 배제하고 밀실에서 벌어지는 매각은 단호히 배격할 것”이라며 “국민혈세 10조 원이 투입된 KAI를 대기업에 주겠다는 것은 재벌에 대한 특혜다. 정부와 특정 대기업의 이 같은 꼼수에 협조하고 있는 산업은행 회장과 정책금융공사 사장,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은 각성하라”고 촉구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