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정수장 사고대응 대비실태 특별 점검 결과, 36개 시설 중 22개(61%) 정수장 개선 필요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5월 29일부터 6월 8일까지 11일간 전국 36개 정수장에 대해 약품누출 등 사고발생시 대응체계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한 결과 22개 정수장(61%)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특별점검은 유역·지방환경청,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합동으로, 지난 5월 12일 발생한 광주광역시 용연정수장 정수약품 과다투입으로 인한 ‘산성수돗물’ 수질사고를 교훈삼아 유사한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추진됐다. 광주광역시 용연정수장(급수인구 80만 명)은 5월 12일 사고발생 당시, 약품주입 밸브 오작동으로 정수약품이 평소의 10배 이상 과다 주입돼 수돗물의 pH가 기준을 초과했음에도 이를 그대로 공급해 일대 주민들의 큰 불편을 초래했다.
점검결과 36개 정수장 중 61%인 22개 정수장 약품누출 등 사고발생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수장에서 사고대응 매뉴얼 비치, 유지보수 일지작성 등 기본적인 관리를 적절히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조사대상 정수장의 61%인 22개 정수장에서는 약품탱크 주변에 방지턱 등을 설치하지 않아 약품이 누출됐을 경우 바로 정수처리과정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응집약품 투입 후단에 pH 감시장치가 없어 응집제가 과다 투입됐을 경우 즉시 감지하고 대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최종원 수도정책과장은 “이번 점검결과를 모든 정수장에 전파해 또 다른 수질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이번 점검 과정에서 정수약품 공급시설 등을 자체 개선해 사고발생에 적절히 대응하는 우수사례도 발굴했다.
목포시 몽탄정수장의 경우, 응집지 후단에 응집플록 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플록 크기를 측정해 적정 약품 투입토록 감시시스템을 설치했다.
광주광역시 덕남정수장은 정수약품 공급배관을 투명재질로 설치, 침전물로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투입감시가 쉽도록 개선했다.
문의: 환경부 수도정책과 홍성균 사무관 02-2110-6875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