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가 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10일 농작물관리대책을 마련하고 농작물 관리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농가에 당부하고 나섰다.
장마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농작물 관리법으로, 벼농사는 논두렁이나 하천 둑을 수시로 점검하고 침수 우려가 있는 논은 물꼬를 낮춘다. 집중호우관련 일기예보가 있으면 물꼬를 트고 약한 부분에는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덮어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물에 잠긴 벼는 가능한 한 빨리 물을 빼주되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벼 잎의 끝만이라도 물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고 도열병이나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방제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밭작물은 배수로를 정비해 물 빠짐을 좋게 해야 한다. 고추는 지주를 손질해 쓰러짐을 막고 참깨는 서너 포기씩 묶어 주거나 줄을 쳐준다. 쓰러진 농작물은 곧바로 세워주고 병에 걸렸거나 상처를 입은 열매는 가급적 빨리 제거한다.
과수원에는 짚이나 비닐 등을 덮어 폭우로 흙이 쓸려 내려가지 않도록 조치하고 찢어진 가지는 잘라내고 적용약제를 발라준다.
침수된 과일은 잎이나 줄기에 묻은 오물을 씻어내고 낙과한 과실과 유입된 흙을 제거하며 쓰러진 과수는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워서 지지대를 설치해준다.
축사는 주변 배수로를 정비해 축사 안으로 물이 흘러들지 않도록 하고 사료나 건초는 높은 곳으로 옮겨 젖지 않도록 한다. 또 전기안전 점검을 통해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분뇨저장시설과 퇴비장을 점검해 오·폐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시설하우스는 주변의 배수로를 정비해 물이 차지 않도록 하고 비바람에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다.
농기계에 묻은 흙이나 먼지 등은 깨끗이 제거하고 기름칠을 한 뒤 클러치나 벨트는 풀림 상태로 조정한 뒤 비를 맞지 않도록 보호덮개를 씌워 보관한다.
이때 엔진내부에 녹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유를 몇 방울 넣고 10회 정도 공회전시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완섭 시장은 “오랜 가뭄 끝에 찾아온 장마로 각종 안전사고와 병충해, 전염병 발생 위험이 높다”며 “전 직원이 시민중심 현장중심 행정을 통해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시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산시는 이·통장회의와 시정소식지, 마을방송 등을 통해 장마철 농작물 관리법과 전염병 예방수칙, 안전사고 대비책 등을 중점홍보 하는 한편, 전 직원 분담마을 출장점검, 종합상황실 운영, 문자메시지 전송 등 행정력을 총동원해 피해예방에 주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