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이 대한항공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다는 전망속에 KAI비상투쟁위원회와 사천시민단체가 민영화 반대 상경투쟁을 벌였다.
한국정책금융공사·삼성테크윈·현대자동차·두산으로 구성된 KAI 주주협의회가 보유 지분 56.41%(6월말 기준) 중 41.75%를 공개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하고, 16일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접수 받았다. 이날 KAI에 대한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기업은 대한항공 한 곳 뿐이다.
대한항공은 KAI 인수 추진 보도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으로 “KAI 주식 매각 공고와 관련해 16일 매각주간사인 산업은행에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한국정책금융공사는 오는 20일 예비입찰 공고를 내고 31일까지 예비입찰 제안서를 받기로 했다. 본입찰 시기는 10월께로 예상된다. 현재로선 다른 인수 후보가 없다는 점에서 대한항공이 KAI를 인수할 확률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정책금융공사가 매각 가격을 높이려고 예비입찰 마감 때까지 진입을 제한하지 않기로 해 변수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앞서 KAI비상투쟁위원회 1700명의 노조원들은 서울 산업은행 앞에서 이날 오후 1시 30분부터 ‘MB정권 부실매각 규탄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날 상경집회에는 ‘KAI민영화 저지를 위한 시민사회연대회의’ 소속 사천시민들도 일부 참가했다.
특히, 김두관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 후보는 상경시위에에서 ‘KAI 민영화 및 부실매각 저지’에 힘을 보태겠다고 선언했다. 김 후보는 “항공산업은 국가 안보의 핵심적인 사업으로 첨단 산업의 결정체이며 한 나라의 기술력을 나타내는 상징”이라며 “KAI 민영화는 국가안보를 팔아서 특정재벌에 특혜를 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 후보는 “이명박 정권이 8조6000억 원의 국민 혈세와 직원들의 뼈를 깎는 희생으로 살려낸 회사를 매각하려는 것은 희생은 국민과 노동자에게 돌리고, 이익은 재벌과 특권층이 나눠 갖겠다는 속셈이다. KAI 민영화를 적극적으로 막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정책금융공사와 삼성테크윈, 현대차, 두산그룹 등의 지분을 합친 41.75%를 공개경쟁 입찰에 부친다는 내용을 지난 7월 31일 공고했다. 단, 컨소시엄을 구성하더라도 대표기업이 자기자금으로 최소 33.33%의 지분을 단독으로 인수하는 조건을 달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