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이 추진하고 있는 일본마을 조성사업이 ‘독도 문제’ 등 최근 한·일 관계 냉각에 따른 때아닌 역풍을 맞고 있다.
16일 남해군에 따르면 최근 한·일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면서 ‘일본마을 및 휴양단지 조성사업’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광복절인 15일부터 남해군청 홈페이지는 수백여 건에 달하는 네티즌들의 항의 글이 폭주하고 있다.
남해군은 지난달 24일 일본마을 및 휴양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브리핑을 통해 창선면 진동리 일원 15만7100㎡를 최종 사업부지로 확정했다.
남해군이 추진하고 있는 일본마을 조성사업은 강제징용 등에 의해 고향을 떠나 일본에서 이방인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재일교포들의 고국정착 지원과 일본풍 전통 건축양식을 활용한 특색 있는 단지조성으로 장래 국제해양관광을 선도하는 중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관광자원 확충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총 46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일본식 주택과 커뮤니티센터 등의 주택단지와 일본문화 체험관, 일본음식 및 숙박체험관, 역사문화관, 한류문화관, 교포기념관, 관광숙박시설 등을 갖춘 관광 휴양단지가 결합된 복합형 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정현태 남해군수를 비롯한 남해군 일본마을 투자유치 방문단이 일본 도쿄, 오사카에서 재일교포들을 대상으로 일본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현지 설명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지난 7월까지 67명의 교포들이 입주신청을 마친 상태로 남해군은 2013년 말께 착공에 나서 2015년 초께 기반공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일본마을 조성사업 자체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일본이 역사적으로 우리와 어떤 사이인데, 일본역사 문화관을 짓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국민감정 무시하고 세금으로 일본마을을 조성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당장 철회하라’는 일본마을 조성 반대 글이 빗발치고 있는 것.
이같은 네티즌 반응에 남해군도 난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남해군 관계자는 “오해가 있는 듯하다. 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본마을은 기존의 독일마을, 미국마을처럼 재일교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면서 “일본인은 아예 입주자격이 없다.
일본 현지 설명회 때도 관심 있는 일본인들이 설명회를 찾았지만 아예 대상이 될 수 없다는 말을 듣고 그냥 돌아가곤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3월께는 도내 산청군이 일본마을 조성 논란에 휩싸이며 홍역을 치른 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