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는 영농준비철을 맞아 한 농자재 업체가 최근 지자체의 영농자재지원사업 제품 선정을 두고 영농회장이나 이장등에게 수찬만원 규모의 리베이트를 제공, 유통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는 의혹을 사 파장이 예상된다.
시는 올해 쌀 안정생산 및 농가소득보전을 위해 오는 31일까지 각 읍·면·동으로부터 벼 재배용 영농자재지원사업 제품 및 소요량을 제출받고 있다.
이번에 신청받는 품목은 맞춤형비료, 물바구미농약, 종자소독약, 초기제초제, 못자리전용상토 등 5개 제품으로 수억원에 이른다.
이에 따라 각 지역은 마을별 및 읍면동별로 자체실정에 맞는 제품 선정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공정하게 진행돼야 할 제품 선정작업에 이권이 개입되면서 지역사회가 혼탁해지고 있다.
지역 농자재 업계에 따르면 한 업체가 자사제품을 납품하기 위해 마을별 영농회장 등에게 공공연히 리베이트를 거론하는 등 공정한 유통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것.
이들은 각 지역별로 자재 선정권을 갖고 있는 영농회장이나 이장 등을 찾아가 '자사제품을 사용하면 단위당 500~1천원씩 리베이트를 제공하겠다'는 수법으로 농민들을 유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수치로 환산하면 제품가 6천500원짜리 농자재 4만개를 특정지역에 공급했을 경우 리베이트 금액만 최소 2천만원이 넘는 규모다.
이런 의혹은 비단 올해만 국한되지 않는다는게 관련업계의 주장이다. 이들은 이 업체가 지역에 진출한 지난 2009년부터 이런 의혹들이 불거져 나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의 농자재 지원사업 신청량 집계에 따르면 실제 이 업체는 지난 2009년부터 지속적인 성장세를 거듭했고, 또한 각 읍면동별로 특정 업체의 제품 쏠림현상이 커 업체별로 70여만원에서 2억 5천여만원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해 리베이트를 거부했다는 한 이장은 "어떤 지역은 이장협의회 회장이 브로커로 나서 수천만원의 리베이트를 챙긴 뒤 다른 이장들과 나눠가졌다는 소문도 들리고 있다"면서 "1월이면 농자재 업체의 돈이 농민들에게 흘러 들어간다는게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농자재 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역에서 열심히 노력해 닦아 놓은 기반이 몇년사이 순식간에 사라졌다"면서 "순수하게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 대우받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한편 충주시는 이번 사업을 위해 각 읍면동에 내려 보낸 공문에서 '제품선정시 일부 자사제품 공급을 위해 농업인을 현혹하는 등 유통질서를 문란케 하는 행위를 금지토록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