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지신(溫故知新) 옛것을 익혀서 새것을 안다. 옛 것의 소중함을 알아야 새로운 학문이나 새로운 것을 이해한다는 뜻이다. 전주의 대표 향토 업체들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는 섭섭함에 이 한자어가 떠올랐다. 요즘 세상은 ‘빨리빨리’ 그리고 즉석에서 간편하게 이뤄지는 ‘인스턴트’문화에 익숙해진지 오래다.
환갑 넘긴 삼양다방, 역사의 뒤편으로
젊은 사람들은 특히 새롭고 보다 좋은 것, 편안한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오래된 것이 낡고 허름할지는 몰라도 옛것을 바탕으로 현재 모든 것들이 이뤄졌다는 사실이다. 전주에도 오랜 역사를 가진 업체들이 몇 군데 있다.
62년 된 전주삼양다방과 35년의 역사를 지닌 전주관광호텔. 아쉬움을 남기며 곧 역사 속으로 사라질 두 곳을 찾았다. 첫 번째로 찾은 곳은 오랜 역사를 간직한 전주 완산구 경원동 한옥마을 인근에 있는 삼양다방이다. 사람들이 북적이진 않았지만 간간이 오가는 고령의 어르신들이 적잖았다. 조금 오래되어 보이는 듯한 나무 탁자와 소파가 한눈에 들어왔고 벽면에는 사진 작품과 그림, 그리고 서화가 걸려 옛 흐름을 그대로 읽을 수 있었다. 삼양다방은 지난 1952년 문을 열었고 올해로 62년째를 맞으며 환갑을 넘겼다. 오래된 시간만큼 이곳에는 많은 추억을 남기며 많은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가 됐다. 하지만 이런 이곳이 6월말을 끝으로 장사를 마무리 한다. 경영난과 맞물려 올해 건물주가 바뀌면서 건물전체를 리모델링 한다는 것. 이 때문에 자리를 옮기거나 문을 닫아야 할 형편에 처해있다.
사랑방처럼 드나들던 어르신 단골손님들 짙은 아쉬움
대부분 이곳은 어르신들의 휴식공간으로써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추억을 파는 삼양다방의 커피 값은 2천원, 단골손님은 1천500원으로 20년 전 그대로다. 단골손님이나 주머니가 넉넉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였다. 40년 단골 김덕엽(76)씨는 “전주 최고 만남의 장소였는데 곧 문을 닫아야 한다니 너무 아쉬울 따름”이라며 “60년이 넘는 다방인데 관공서에서 경영주에게 도움을 줘 다시 문을 열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단골손님 이모(68)씨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전주에 와서 중학교 시험을 치르면서 부모님을 따라 이곳에 처음 들렸다”며 “이후 전주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다시 찾았는데 참 반가웠다. 특히 주인장이 어르신들에게 아주 친절하기에 이런 전통 있는 다방은 보존이 필요하지 않나하는 생각이 든다”며 아쉬움을 표현했다.
“다시 볼 수 있으려나~너무 서운하네 그려~” 일부 어르신들은 차를 마시고 커피 값을 치르고 나가면서 주인에게 한마디씩 던졌다. 이처럼 정든 단골손님들의 아쉬움은 크기만 하다.
주인 이춘자씨는 “오랜 시간 이곳에서 다방을 운영해 오다보니 손님들이 보통 60~80대가 대부분이다”며 “예전에는 전주의 중심지에 있어 만남의 장소이자, 많은 사람들이 오고갔는데 이제는 경영이 어려워 문을 닫게 돼 많이 서운하고 단골손님들에게 미안할 따름”이라고 했다.
35년 역사의 전주관광호텔도 추억 속으로
또 다른 곳은 전북지역 호텔 중 유일한 역사를 자랑하는 전주관광호텔. 지난 1978년 건립돼 많은 사람들의 소통, 교류의 장을 제공해왔다. 그러나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35년의 역사를 마무리 한다. 이곳은 전체 42개 객실과 웨딩홀, 연회장, 커피숍 등 각종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도내에 번듯한 호텔이 없던 시절에 생겨나 더욱 사랑받던 장소로 유명하다. 또한 정치활동이 자유롭지 못한 1980년대에는 중앙 또는 지방에 있는 정치인들의 소통, 교류의 장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새 정치 국민회의 총재시설인 1995년 정치,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켰던 정치권의 비자금 문제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한곳도 전주관광호텔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관광호텔은 최근 도내 한 의료법인에 인수되어 호텔을 리모델링해 노인요양병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는 것
관광호텔 관계자는 “무척 아쉽긴 하지만 새로 생겨나는 호텔 등 후발주자들과의 경쟁에서 밀려 경영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프런트에서 1년째 일했다는 김민준씨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관광호텔이 문을 닫아야 한다는 사실이 너무 안타깝다”며 아쉬움을 내비쳤다. 직장인 박모(36)씨도 “결혼식은 물론 아이 돌잔치도 이곳에서 해 우리에겐 아주 뜻 깊은 장소인데 없어진다니 너무 아쉽다”고 말했다. 추억이 살아있고 역사와 함께해온 향토업체들, 경영악화로 점차 사라져 가는 향토업체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런 향토 업체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는 회생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