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납대상-금액등 업주진술 ′오락가락′…물증확보도
용산역 주변 윤락업주들의 상납 의혹을 수사 중인경찰이 물증 확보에 발벗고 나섰지만 정작 주요 단서인 `장부′ 확보에는 실패하면서수사가 윤락업주들의 위법 사실에 대한 처벌로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서울경찰청 수사과는 지난 24일 윤락업주들의 자택과 업소, 승용차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데 이어 지난 26일부터는 금융계좌와 통화내역 추적에 나서면서 업주들과 경찰의 유착을 밝혀낼 물증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압수수색에서 별다른 소득을 올리지 못한 경찰은 계좌 추적, 통화내역 조사에서도 유착 관계를 밝혀낼만한 단서를 찾는 데 큰 기대를 걸지 못하고 실정이다.
경찰로서는 물증 확보작업이 제 자리를 맴돌면서도 유착 의혹은 막연한 기정 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어 답답한 상황.
상납 의혹을 폭로한 남모(45)씨는 25일 조사에서 처음과 달리 30명이 아닌 15명의 경찰관에게 10만~20만원의 금품을 회식비, 휴가비 명목으로 제공했고, 이 중 2명에게는 언론보도 무마를 청탁하면서 각각 50만원과 100만원을 줬다고 진술했다.
상납을 받은 경찰 수나 금액은 처음 폭로 당시보다 줄었지만 의혹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경찰 수사가 업주들의 위법 사실에만 집중되면서 상납 의혹을 폭로했던 박모(40)씨는 서울경찰청 고위간부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e-메일까지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폭로에 나섰던 남씨 등의 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던 경찰관들을 직접 대질해 조사할 방침이지만 뚜렷한 물증이 없어 진술에만 의존할 경우 당사자들의 거센반발 등 `용두사미′ 수사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경찰 관계자는 "통화 내역 등을 조사해보면 누가 업주들과 어떤 용무로 통화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남씨의 진술이 신빙성은 없지만 일단 계좌추적 결과와통화내역, 진술을 모아보면 뭐가 나오지 않겠느냐"고 일말의 희망을 거는 모습이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