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을 나오고도 직장을 얻지 못한 대졸 여성 실업자가 한 달 만에 두 배로 불어나고 실업률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는등 여성 고급 인력의 취업난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의 대졸 이상 여성 실업자는 모두 14만2천명으로 1월의 7만2천명에 비해 7만명(97.2%)이나 급증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대졸 이상 여성의 실업률은 5.8%로 1월의 3.1%보다 2.7% 포인트가 올라 외환 위기 한파의 영향이 남아 있던 지난 2000년 2월의 6.1% 이래 최고를기록했다.
이는 대졸 이상 남성 실업률 3.3%의 1.8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 실업률 3.9%는 물론 고졸 여성 4.3%, 중졸 이하 여성1.8%, 고졸 남성 4.7%, 중졸 이하 남성 3.5% 등 다른 모든 성별 및 학력별 실업률에 비해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취직하지 못한 여대생이 많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반면 대졸 이상 남성 실업자는 15만4천명으로 대졸 이상 여성 실업자보다 숫자는 조금 많지만 1월에 비해 1만6천명(11.6%) 증가에 그쳤고 작년 같은 달보다는 4천명(2.5%)이 줄어드는 등 오히려 사정이 나아졌다.
여성 대졸자 가운데 2년제 졸업자의 실업률은 6.7%로 전달의 3.7%에 비해 크게뛰어올랐고 4년제 대졸 이상 여성의 실업률도 2.7%에서 5.2%로 급등하며 1999년 3월의 6.1% 이래 5년 만에 최고를 나타냈다.
반면 남성 2년제 대졸자 실업률은 4.5%로 1월의 4.8%보다 소폭 떨어졌고 4년제대졸 이상자는 2.9%로 0.5% 포인트가 올랐지만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직장을 잃은 지 1년이 안된 실업자 67만명 가운데 임시.계절적 작업완료로 실업자가 된 경우는 9만1천명으로 작년 2월에 비해 75.0%나 급증했고 일거리감소나 경영 악화로 직장에서 쫓겨난 경우는 16만8천명으로 29.2%가 늘어났다.
또 명예.조기퇴직과 정리해고로 인한 실직도 2만9천명으로 26.1%가 늘었고 직장휴.폐업이 원인이 된 경우도 4만5천명으로 작년 2월에 비해 25.0%가 급증했으며 개인적 이유나 건강·시간·보수 등에 대한 불만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33만3천명으로 8.5%가 증가했다.
전직이 전기·운수·통신·금융업계의 실업자는 5만2천명으로 작년 2월보다 62.5%가 늘었고 건설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도 각각 11만1천명과 20만7천명으로 27.6%와19.0% 증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