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데이터베이스(DB) 구축 계획과 관련, 인권침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경찰이 21일 전국적으로 무연고 아동의 유전자(DNA)시료 채취 작업에 착수했다.
경찰은 이날 서울 중구 모 시설에서 보호 중인 남.여 9세 아동 2명의 구강에서 침과 피부세포 등 시료를 채취했다.
경찰은 인권침해 시비에 대한 보완책으로 시료채취 때 경찰관,사회복지사 외에도 시민단체(NGO) 대표를 동행하겠다는 공언과 달리 이날 NGO 대표가 없는 가운데 시료 채취를 강행, 인권단체들의 반발을 사고있다.
시료를 채취한 서울 중부경찰서 관계자는 "시료채취시 아동 관련 NGO 관계자를 동행하라는 지시를 받긴 했지만 중부서 관내에는 아동 관련 NGO가 없다"며 "대신 모사단법인 단체 관계자가 동행할 예정이었지만 사정상 참석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아동 관련 NGO 관계자를 동행하도록 한 것은 인권침해를 방지하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오늘은 언론 취재 협조에 신경쓰다 보니까 이런 문제가 발생했다"며 "전국 경찰관서에 아동 관련 단체가 아니더라도 NGO 관계자를 반드시 동행한 가운데 시료 채취를 하라고 지시하겠다"고 해명했다.
지문날인 반대연대 활동가인 윤현식씨는 "경찰이 인권침해 시비를 불식시키려면 유전자 정보 오.남용에 대해 고민하는 단체 등의 추천을 받아 믿을 만한 사람들로 위원회를 정식 구성해야할 것"이라며 "이번 해프닝만 보더라도 경찰이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NGO 참여′ 운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부터 1개월 간 어린이 찾아주기 종합센터에서 명단을 관리하고 있는 18세 미만 무연고 아동 9천300명과 부모 730명을 대상으로 구강세포 등 시료를 채취, 유전자 DB를 구축할 계획이다.
참여연대, 인권운동사랑방 등 14개 인권.사회단체는 20일 공동성명을 내고 "경찰의 유전자 DB 구축사업은 법적 근거가 없다"며 "경찰은 신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