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균 3.3%%... 중국-미국-대만보다 높아
올해 1.4분기에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세계최고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3.4%, 2월 3.3%, 3월 3.1%로 1.4분기 평균 3.3%에 이르러 한은이 파악하고 있는 27개국 가운데 필리핀, 인도네시아, 브라질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았다.
나라별로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 기간에 1.8%로 작년 같은 기간의 2.9%에 비해 크게 낮았으며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도 2.8%에 머물렀다.
미국의 경우 외국 수출 업체들이 시장 확보 또는 유지를 위해 수출가격을 낮게책정하고 있는 것이 물가안정의 요인이며, 중국은 자체에서 생산하는 공산품의 가격이 낮아 물가부담이 예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은 1월 중 소비자물가가 작년 동기보다 0.3% 떨어졌고 2월에는 변동이 없어오히려 지나치게 낮은 물가수준을 걱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의 3월 소비자 물가는 이달 말께 나온다.
대만은 1.4분기에 0.5%가 오르는데 머물렀고 태국과 싱가포르(1-2월)도 각각 1.9%, 1.4%가 상승하는데 그쳤다. 아르헨티나도 우리나라보다 0.9%포인트나 낮은 2.4%였다.
또 유럽지역의 1.4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핀란드 0.3%, 스웨덴 0.6%, 덴마크0.7%, 독일 1.0%, 영국 1.3%, 프랑스 2.0%, 포르투갈 2.2%, 네덜란드 1.3%, 오스트리아 1.5%, 룩셈부르크 2.2%, 스페인.이탈리아 각 2.3%, 그리스 2.8% 등이었다.
유럽연합(EU) 15개국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7%로 작년 같은 기간의 2.2%에 비해 0.5%포인트가 낮았다.
캐나다는 0.9%로 작년 동기의 4.5%에 비해 크게 안정됐다.
반면, 올해 1.4분기 중 필리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였고 인도네시아와브라질은 각각 4.8%, 6.8%였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임금상승률이 높은 데 따른 고비용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원자재.원유의 대외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농수산품의 유통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물가 상승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