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공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인사개혁 방침을 밝혔다.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지난 19일 정부산하 단체장 인사와 관련,“어지간히 하신 분들은 스스로 거취를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언급은 공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물갈이 예고인 동시에 사실상 일부 기관장들에 대한 퇴진압박으로 해석된다.
정 수석은 “대통령께서 어려운 일을 겪었고, 온 국민이 이후 국가가 잘돼 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일부 인사들이 나라가 정말 새롭게 잘돼 나가기 위한 차원에서 스스로 생각해 봐야 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이같은 언급은 열린우리당 내에 총선 낙선자와 일부 당직자들을 중심으로 공기업에 개혁성향 인사들을 대거 포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약 420개의 정부산하기관 중 대통령이 직접 인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관은 44개다. 청와대는 당초 4·15총선 전에 공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경질인사를 예고했으나, 탄핵안 가결로 인해 유보된 상태였다.
올해 초 정 수석은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경질할 생각”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당시 정 수석은 44개 중 올 상반기 중 임기가 만료되는 15개를 1차 인사대상으로 지목했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그 외에라도 현저하게 필요성을 느끼면 인사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해 인사폭이 확대될 것임을 시사했다.
또 공기업 인사와 관련, 정 수석은 “퇴직한 공무원이 산하기관으로 가려면 가급적 6개월이 경과해야 한다”고 ‘유예기간’을 설정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