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중풍 노인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요양시설' 등 노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복지시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오는 2008년 7월 '노인수발보험제도' 도입을 앞두고 올해에는 2429억 원을 지원, 총 349개 소의 노인요양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가 7일 발표한 '2005년도 노인복지시설 현황'에 따르면 총 5만6518개소로 2004년 5만3461개소에 비해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는 노인복지시설은 △의료 △주거 △재가(가정봉사원파견센터 등) △여가 네가지로 분류되며, 정부가 지원하는 무료 및 실비 시설과 민간이 운영하는 유료 시설로 나뉜다. 지난해 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노인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시설은 583개소로 전년 대비 52.6% 늘었다. 이중 정부가 지원하는 무료 또는 실비 시설은 416개로 47.5%로 증가했으며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유료 시설도 167개로 67%로 증가했다. 양로시설, 노인복지주택 등 무의탁 노인에게 주거기능을 제공하는 노인주거복지시설은 2004년 139개소에서 지난해 282개소로 102.9% 증가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무료 또는 실비 양로시설은 201개소, 7177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23%나 급증했으며, 민간이 운영하는 유료 양로시설 및 유료 노인복지주택도 81개소, 6112명으로 전년에 비해 65.3% 증가했다. 재가노인 복지시설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이 곤란해 가정에서의 보호가 필요한 노인을 지원하는 가정봉사원파견센터 등으로 현재 전국에 851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4만여 명의 노인이 서비스를 받고 있다. 가정봉사원 파견센터는 식사준비·목욕지원·말벗 등 가사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서 전년에 비해 33.0% 증가했고, 맞벌이·보호자 출타 시 일시 보호를 해주는 주간·단기보호시설도 24.9% 늘었다. 건강한 노인들이 생활권 내에서 취미·자원봉사·정보교류 등 각종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노인복지회관, 경로당 등 노인여가복지시설도 전년에 비해 4.8% 증가했다. 복지부 노인정책팀 최영현 팀장은 "노인수발보험제도의 도입에 대비해 치매, 중풍 등 중증질환 노인을 입소 보호하는 노인요양시설이 정부지원으로 대폭 확충되고 있고, 민간사업자의 유료 노인복지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중되고 있어 노인복지시설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올해 노인 요양시설 349개소를 신축하는 등 대폭 늘리고 기존 노인 요양시설 외에 올해부터 소규모 요양시설, 노인 그룹홈, 농어촌 재가 복지시설도 지원하는 등 요양 인프라를 강화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