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7일 경북 포항 동북방 48km 해상에서 추락한 F-15K의 잔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군과 한국해양연구원이 추락 지점 해저에서 기체 잔해를 발견한 것으로 확인됐다.군 소식통은 3일 “지난달 25일부터 탐색선을 이용해 진행되고 있는 기체 잔해 수색작업 결과 잔해가 있는 해저 위치를 확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해당 지점에 블랙박스가 있는 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공군도 이날 F-15K 잔해 탐색작업 경과 브리핑에서 “한국해양연구원의 탐색선이 지난달 29일 F-15K 추락 지점인 포항 동북방 48km 바다 밑에서 기체 잔해를 최종 확인한 뒤 임무를 종료하고 다음날 철수했다”고 발표했다. 블랙박스 회수를 위해 투입된 한국해양연구원의 탐색선 ‘해양 2000호(2500t급)’는 음파탐지기(SONAR)를 이용해 수심 370여m 해저에서 F-15K의 잔해 위치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공군은 현재 민간업체인 케이티서브마린이 보유한 인양선 ‘바다로(1만2000t급)’가 잔해가 발견된 해상에 투입돼 ‘무인해중 작업장치’를 이용해 수중촬영을 하면서 항공기 잔해를 식별하고 있으나 기체 잔해가 개펄 속에 묻혀 있고 해저 시계(가시거리)가 30∼50cm 정도로 불량해 탐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공군 권오성(준장) 정책홍보실장은 “아직까지 블랙박스 유무나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블랙박스 식별 및 인양에 최우선을 두고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체 잔해가 발견된 곳에서 블랙박스가 없을 수도 있지만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현장에서 랜딩기어 등 20여 점의 기체 잔해를 수거했지만 블랙박스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