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판용 샘플서 무허가물질...농림부“국내 수입된적 없어”
미국산 시판용 쌀의 샘플에서 식용으로 허가되지 않은 유전자 변형물질이 검출돼 파장이 예상된다.마이크 조한스 미 농무장관은 18일(현지시간) 미국산 시판용 쌀의 샘플 중 극히 일부에서 무허가 유전자 변형물질이 발견돼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조한스 장관은 독일 바이에르사의 조사 결과, LLRICE 601로 불리는 이 무허가 유전자 변형물질을 함유한 쌀이 인체에는 아무런 해가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강조했다.LLRICE 601 쌀은 제초제에 견딜 수 있는 박테리아성 DNA를 보유한 품종으로 바이에르사가 1998∼2001년 개발 시험을 했으나 미국 당국의 최종 허가를 받지 못한 채 개발을 중단했다. 하지만 바이에르사의 조사 결과, 이 쌀이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판명됐다고 농무부 측은 강조했다. 그러나 미 당국의 이 같은 주장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무허가 유전자 변형 쌀이 발견됨에 따라 미국 쌀 시판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연간 1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쌀의 수출에 부정적 여파가 우려된다고 미국 언론은 지적했다.한편 농림부는 미국 내 쌀에서 유전자 변형물질(LLRICE 601)이 검출된 것과 관련, 같은 종류의 쌀이 국내에 수입된 적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20일 밝혔다. 농림부는 문제의 쌀은 형태가 긴 장립종 쌀로 그동안 우리가 미국에서 수입한 칼로스 쌀 등 중단립종 쌀과는 다른 품종이고 특히 수입할 때는 미 농무성 산하 정부기관의 유전자 변형물질에 대한 확인 절차를 거친다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