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5년 건강진단 결과 분석...순환·소화기·내분비순 이상
국내 노동자들의 15% 정도가 순환기 질환이나 소음성 난청 등의 질환을 갖고 있거나 질환 여부를 관찰해야 한다는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4일 노동부에 따르면 25만4577개 사업장의 근로자 257만2105명을 대상으로 2005년 실시된 건강진단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의 15.2%에 달하는 39만2075명이 일반질병이나 직업병 유소견, 질병요관찰 등의 이상소견 판정을 받았다.유형별로 보면 질병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관찰이 필요하다는 요관찰 대상자가 25만7796명(65.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반질병 유소견자 13만1899명(33.6%), 직업병 유소견자 2380명(0.6%) 등이었다.일반질병 유소견자의 질병종류는 순환기 질환이 41.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소화기 질환(24.4%) ▲내분비 질환(15.0%) ▲빈혈 등 혈액조혈기 질환(4.1%) ▲신경감각기 질환(3.8%) ▲호흡기 질환(2.4%) 등의 순이었다.직업병 유소견자의 질병종류는 소음성 난청(86.5%)이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진폐증(11.0%), 금속·중금속 중독(1.7%) 등이었다.◆ 매년 직장인 질병률 높아져아울러 전체 노동자 1만 명당 일반질병 유소견자 수와 직업병 유소견자 수를 나타내는 만인율이 높아져 근로자의 건강이 전반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질병 유소견자의 만인율은 2004년 399.7명에서 2005년 512.8명으로 높아졌고 직업병 유소견자 만인율도 2004년 8.1명에서 2005년에는 9.3명으로 증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