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천 앞바다의 해사 채취를 재개토록 결정했으나, 실제 채취는 각종 행정 절차 등으로 한달뒤에나 가능해 그때까지 모래난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 옹진군 관계자는 3일 "건설교통부 등 정부가 지난 2일 결정한 해사채취허용결정을 공문으로 통보해 오면 내부회의를 거치고 해양수산부와 군부대 등과 공유수면 점용허가에 대해 협의해 채취 재개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해사채취 반대를 주장해온 환경단체 및 시민들에게 정부의 결정을알려 이해시키고 해양부와의 행정절차를 협의하는데 한달 가량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실제 바닷모래 채취는 한달뒤인 4월초에나 이뤄질 것으로 보여 모래난이 계속될 전망이다.
수도권의 모래 70% 가량을 공급해온 인천지역 17개 골재업체는 올해 초 옹진군으로부터 금년 채취량을 배정받지 못해 최근 채취를 중단한 상태이며, 인천 남항 바닷모래 야적장은 거의 바닥나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당 7천원하던 모래가격은 최고 1만2천∼1만3천원까지 치솟으며, ′골재 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한편 옹진군은 최근 인천녹색연합이 "해사채취업체들이 불법으로 바닷모래를 채취, 어족자원을 고갈시키고 자연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해사채취 중단을 요구하자, 지난 1일부터 바닷모래 채취를 금지시키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