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불황에 공공요금도 못내… 광주-전남 45% 급증
극심한 경제난으로 전기료와 수도료 등 공공요금을 내지 못해 단전, 단수를 당하는 가정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4일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남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기료 체납으로 단전조치를 당한 가정이 모두 4만2133가구로 2002년 2만9000가구에 비해 45% 가량 증가했다.
단전조치는 ‘3개월 이상 체납하면 전기를 끊는다’는 내용의 공문을 체납자 가정을 직접 방문, 공지한 뒤 취하게 돼 있다.
수도료를 못내 물이 끊긴 가정도 크게 늘고 있다.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2개월 이상 요금을 연체해 단수된 곳이 2002년 452건에서 지난해에는 665건으로 48%가 증가했다.
올해도 지난 1월 한달 동안 62곳이 단수조치를 당했다.
연체금액도 2002년에는 5억2000여만원에서 지난해에는 6억3000여만원으로 20% 이상 늘었다.
이와 함께 전화가 끊긴 가정도 상당수에 달하고 있다.
KT 전남본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8월말 기준으로 24만여명이 전화비를 내지 않아 전화사용이 정지된 상태다.
아울러 영세민들이 밀집해 있는 아파트들의 관리비 체납도 늘고 있다.
광주시 광산구 하남 A아파트 1단지(1000가구)의 경우 관리비를 체납한 가정이 2002년도에는 140가구였으나 지난해에는 200여가구로 늘어났다.
서구 화정동 B주공 아파트도 500여가구 중 100여가구가 관리비를 체납하고 있으며 이는 2002년말보다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 및 한국통신 지역본부 관계자는 “액수가 불과 몇 만원에 불과한 전기료와 전화료를 내지 못하는 가정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