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 수급자 가운데 근로능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자활사업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작년 3·4분기까지 기초생활 수급에서 탈피한 사람은 조건부 수급자 813명 가운데 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에도 취업은 18명, 자활특례(상향이동)는 27명에 불과했다.
2002년에도 조건부 수급자 684명 가운데 자활에 성공한 경우는 자활사업참여 16명, 취업 65명, 창업 16명 등 모두 97명에 그쳤다.
이는 구청별 자활사업이 특색없이 획일적으로 실시되면서 전문기술 습득이나 근로능력 향상 등과 거리가 먼 단순 직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재 대전시 일선 구청에서는 대부분 집수리, 간병인, 청소, 자동세차, 분식사업 등 단순 노동을 자활사업으로 선정, 실시하고 있다.
자활사업은 기초생활 수급자 가운데 근로능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임금을 지원하면서 특정기술 연마나 사업을 시행토록 해 창업이나 취업 등으로 기초생활 수급에서 탈피토록 하는 것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행 초기여서 자활사업으로 창업에 나서기엔 어려움이 적지 않다”며 “전문기술 쪽으로 비중을 높이고 직종 다양화 등을 통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