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재학급′ 별도 운영, 과반수가 330점 이상 고득점
실력이 변변치 않았던 학생들이 주로 다니던 시골의 한 종합고등학교가 대입 수능시험 고득점자를 다수 배출하는 일류학교로 변신해 화제다.
전북 익산시내 중심에서 20㎞ 가량 떨어진 금마면 동고도리에 있는 익산고(교장 최인호.59)는 지난 66년 설립돼 인문계와 실업계 학생이 함께 공부하는 종합학교로 몇 해전까지만 해도 대체로 하위권 학생들이 모이는 후기학교로 알려졌었다.
말 그대로 익산과 인근 군산지역에서 인문고 진학에 실패한 학생들이 선택한 `마지막 학교′로 정원이 532명이나 되지만 개교 후 지난 30여년간 수도권 대학에 입학시킨 학생이 손에 꼽을 정도로 실력이 뒤떨어졌었다.
그랬던 이 학교가 지난해부터 서서히 두각을 나타내더니 올해는 기어이 큰 일을 내고 말았다.
이번 수능시험에서 이 학교 고인성(인문계)군이 392점으로 도내 최고성적을 거둔데 이어 전북도 예체능계 수석도 이 학교 학생이 차지하는 저력을 과시한 것이다.
특히 이 학교에서 운영하는 영재학급 학생 29명 가운데 과반수가 330점 이상 고득점을 얻는 놀랄만한 성적을 보였다.
이에 앞선 지난해 수능에서는 개교 36년만에 처음으로 서울대(1명) 입학생을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런 결과에는 지난 99년 지병으로 숨진 `익성학원′ 지성양(당시 69)이사장의 `교육보국 실현의지′가 깊이 배어있다.
숨지기전 지 이사장은 `지역인재 양성′ 유지(遺志)와 함께 150억원의 장학기금을 출연했고 학교는 이를 기반으로 인재육성 사업을 활발히 펼쳐 나갔다.
30여명으로 구성된 `영재학급′을 별도로 설치, 이들 학생에게는 3년간 수업료를 포함한 일체의 공납금과 기숙사 비용을 전액 면제해줬을 뿐만 아니라 겨울방학 때마다 미국과 호주에 1개월씩 어학연수도 보냈다.
또 영재학생과의 1대 1 지도와 방과후 실시된 교과 관련 특기적성교육도 다른학교보다 열성적으로 진행됐다.
유윤종(50) 교감은 "일반학생과 영재학생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되지 않을까 처음엔 우려도 했지만 일반학생들이 우수학생의 수업방식을 따라가면서 자연스럽게 면학분위기가 좋아져 전체적으로 실력이 크게 향상됐다"고 말했다.
지난 2000년부터 시작된 영재학급 운영으로 도내 농촌지역에서 실력은 있지만 돈이 없어 공부할 길을 찾지 못했던 우수학생들이 몰려들었고 이런 투자의 결과가 지난해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최 교장은 "농촌의 학생들이 대부분 도시로 빠져나가면서 수많은 농촌학교가 폐교에 직면해 있는 현실에서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며 "우리학교의 교육시스템이 침체된 농촌교육에 활력을 불어 넣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