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센터 위도 건립을 둘러싸고 5개월째 주민-경찰 간 폭력사태가 끊이질 않았던 전북 부안에 평화스런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 반전은 지난 7월 이후 주민 30명이 구속되고 300여명이 상처를 입자 희생을 최소화하면서 핵폐기장 유치 백지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겠다는 핵 대책위 지도부의 투쟁방향의 선회로 보인다.
특히 `과격 행동을 유발하는 시위를 자제하고 부안에 배치한 경찰력과 한국수력원자력㈜, 산업자원부 부안사무소를 철수시키자′는 중재단의 제안도 주민들의 공감을 얻으면서 확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0일 이후 과격시위는 물론 관공서 방화 등이 자취를 감췄으며 앞으로 대규모 집회도 평화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돼 부안사태가 점차 진정되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런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그렇다고 당장 핵 대책위가 `평화 선언′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일부 강경파들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는데다가 `평화 선언′이 자칫 정부와 협상에서 끌려가는 듯 한 모습으로 비춰져 전술적인 후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핵 대책위 고영조 대변인은 지난 28일 "지금까지 우리의 시위와 집회는 꾸준히 평화기조를 유지해 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면서 "우리의 평화기조는 정부와 경찰의 대응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주민들은 조직화된 투쟁가들이 아닌 만큼 그동안 여러가지 폭력 등 돌발 상황이 발생했다"면서 "핵 대책위의 투쟁기조는 변함없이 `평화′"라고 밝혀 향후투쟁 방향을 시사했다.
핵 대책위 김진원 조직위원장도 "정부와 대화기구를 구성한 이후 주민들은 두달 가까이 평화적 촛불집회만 열었을 정도로 폭력을 행사하지 않았다"면서 "앞으로도 주민들은 경찰이 과잉진압을 하지 않는다면 평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평화시위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나유인 부안경찰서장도 "부안 주민들이 정부에 대해 불신감을 갖고 있지만 주민-경찰간 충돌은 원하지 않는다"면서 "평화적 집회가 계속되면 경찰력도 단계적으로 철수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