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측 중재단이 지난 26일 청와대 유인태 정무수석을 방문, 주민투표 실시방안에 관해 전반적이고 구체적으로 논의하자는 제안서를 전달하고 정부가 수용 여부 검토에 들어가 교착상태에 빠진 부안 원전센터 문제가 실마리를 찾을 전망이다.
핵 대책위도 이날 노무현 대통령이 전북 언론사 간부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 질서를 회복하고 경찰이 철수할 수 있도록 합의한 뒤 양쪽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도록 다시 합의해야 한다′고 밝힌 데 대해 "정부가 신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한다면 대통령을 만날 수도 있다"고 말해 대화 재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핵 대책위 고영조 대변인은 이날 "정부가 한국수력원자력㈜의 즉각적인 철수 등 가시적 신뢰 회복 조치를 취한다면 주민들의 총의를 물어 면담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최병모 변호사와 수경 스님 등 부안측 중재단은 양측 2명씩으로 실무위원회를 구성하되, 청와대도 참여하고, 비공개로 운영하며, 실무위원회가 투표일정 등을 합의하면 공동협의회가 이를 추인.발표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과격 행동을 유발하는 시위를 자제하고 부안에 배치한 경찰병력과 한국수력원자력. 산업자원부 부안사무소를 철수시키자는 중재단의 제안을 정부가 수용한다면 지난 14일 이후 결렬된 정부-핵대책위 간 대화도 재개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야외 촛불집회가 봉쇄된 이후 지난 21일부터 부안성당에서 열렸던 촛불집회는 26일 부안수협 앞에서 열렸다.
주민 500여명은 이날 오후 7-10시 부안 수협 앞과 군청으로 향하는 도로 곳곳에서 50-200명 단위로 모여 `핵폐기장 철회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원천봉쇄한 경찰들과 승강이를 벌였으나 별 충돌은 없었다.
이 과정에서 `반핵 국제 포럼′에 참석했다가 시위에 동참했던 사와이 마사꼬 일본 핵폐기물 문제 담당 등 외국인 5명이 한때 경찰에 연행됐다가 풀려나기도 했다.
이에 앞서 이동영 부안군 공무원 직장협의회장은 최근 부안군이 원전센터 건설에 반대 입장을 표명한 공무원을 타지로 전보 발령조치 한데 대해 항의, 삭발하기도 했다.
핵 대책위는 지난 27일 부안군 14개 읍.면에서 주민들을 상대로 집중 홍보전을 펴기로 하는 한편 전주.군산.정읍 등 인근 6개 시.군에서 촛불집회와 선전전을 펴기도 했다.
경찰은 총궐기 대회에 노동계와 농민회 등이 대거 참여, 부안시위가 또다시 격화될 것에 대비, 현 8천여명인 경찰력을 1만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수배자 검거 등을 위해 부안성당 진입을 신중하게 검토해온 경찰은 종교계의 반발을 우려, 사태추이를 지켜보기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