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내에서 추진중인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사업 가운데 목포항 거점지구와 보성 백제토성 발굴, 강진 마량지구 등 3개 사업이 취소되고 여수 화양지구가 새로 추가된다.
또 사업비 가운데 국비와 지방비는 감액된 반면 민자가 크게 늘고 19개 사업은 토지매입·공사 지연 등으로 공사 기간이 1-4년씩 연장돼 사업 차질은 물론 추진 과정에서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문화관광부는 지난 13일 문광부 회의실에서 전남도와 경남도, 부산시 등 3개 시·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토연구원이 맡아온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사업 중간평가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된 용역결과에 따르면 목포항 거점지구는 기본계획 미수립과 보상비 과다를 이유로, 강진 마량지구는 지방비로 연륙교 가설이 어렵고 민자유치도 불투명하다는 점 때문에 사업 자체가 취소됐다.
또 보성 백제토성 동로성지발굴사업은 유적발굴 과정에서 성터가 발견되지 않았고 보상비가 높다는 이유로 중단되는 등 3개 사업(3천77억원)이 취소됐다.
대신 여수 화양지구(7천381억원)는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민간부문 착수 이후 공공부문을 지원한다는 조건으로 추가됐다. 이에 따라 전체 대상 사업은 37개에서 35개로 축소됐다.
또 28개 사업의 사업비가 변경되면서 전체 사업비는 당초 1조6천329억원에서 2조542억원으로 4천303억원이 늘었다.
하지만 이 가운데 국비는 23억원, 지방비는 473억원이 감액된 반면 민자는 4천799억원이 늘어난 1조4천565억원으로 편성돼 사업추진 과정에서 큰 부담이 우려된다. 지금까지 남해안 관광벨트 사업에 확보된 민간자본은 600억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결국 전남도내 남해안 관광벨트 사업의 성패는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민자 유치 여부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고재영 전남도 관광시설담당은 “이같은 중간평가 결과는 오는 4월까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5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라며 “국비 축소액이 부산은 949억원, 경남은 463억원에 이른 반면 전남은 23억원에 그쳤다”고 밝혔다.
남해안 3개 시·도를 연결하는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사업은 지난 2000년 시작됐으며 전남에서는 목포와 여수 등 13개 시·군에서 오는 2009년까지 추진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