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가정책 과제로 제안한 ′기업도시′ 건설과 관련,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방자치단체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 지원으로 기업도시가 건설되면 그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지난 12일 전경련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전경련 측은 기업도시 건설 타당성과 실현가능성 등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가 끝나는대로 이르면 다음달 정부에 구체적인 제안을 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전경련은 주택가격 안정과 지방균형발전, 기업생산비용 절감 등을 내세워 기업도시를 건설하자고 제안하고, 한국산업건설연구원에 기업도시 타당성 연구 용역을 의뢰해 최근 "건설 타당성이 크다"는 취지의 연구 보고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광주시.전남도 등은 기업도시 유치를 위해 내부적으로 후보지를 검토하는 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광주시는 광산구 임곡동 일원이 접근성이 좋고 1천만평에 이르는 부지의 확보가 쉽다고 판단, 기업도시 후보지로 지원할 뜻을 내비쳤다.
기업도시에 대한 정부방침이 정해지는대로 각계 인사를 포함한 기업도시유치추진위원회를 구성,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강신기 광주시 경제정책과장은 "전경련의 기업도시 건설제안 직후부터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또 전남도는 지난 8일 전경련 관계자 등 4명을 전남도로 초청해 SOC(사회간접자본)현황 등을 설명하고 기업도시 유치를 위한 협조를 당부했다.
전남도는 지난해 10월 말부터 광주.전남발전연구원과 광주상공회의소 관계자들과 함께 기업도시 유치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운영해 왔다.
이들은 무안군 일로읍 남악신도시 주변이 기업도시 최적 후보지로 부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토 서남권의 경우 국가경제발전을 이끌 산업도시가 없어 다른 곳보다 국가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또 호남고속전철과 광주~무안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대도시인 광주와 30분이면 연결되는 데다 도시개발을 위한 값싼 택지 확보가 가능하며 1천만평 이상의 대규모 단지를 조성할 수 있어 제1의 후보지로 손색이 없다는 주장이다.
한편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도시가 건설되기 위해서는 지자체 도움이 필수적인만큼 후보지 윤곽 등이 나오는대로 협조를 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