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시가 하수종말처리시설이 완공되지 않아 오폐수가 흘러들고 있는 해안에 계속 막대한 사업비를 들여 정화사업을 벌이기로 해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시는 2001년부터 시행해 온 이 사업에 대해 각계로부터 중단 요구를 받고도 이를 묵살, 올해는 오히려 사업비를 대폭 올려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 14일 여수시에 따르면 최근 시전동 선소(船所)주변 71.4㎗의 가막만 해역 준설사업비로 국비와 시비 등 87억원을 확보해 이달 말부터 연말까지 집행키로 했다.
이는 시가 지난 3년동안(2001∼2003년) 이 해역 준설비로 투입한 사업비 85억원보다 많은 것이다.
여수지역에는 하수종말처리시설이 없어 선소주변 해역이 아파트와 상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폐수로 오염돼 여름에는 악취가 심해 정화가 시급하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하수종말처리시설이 아직 가동되지 않고 있어 가동 이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시민단체 등에서 수차례 제기한 바 있다.
전 여수대 교수인 양한춘(수산학) 박사 등은 “계속 오폐수가 흘러들고 있는 가운데 준설할 경우 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사업 자체도 큰 효과가 없으므로 중지해야 한다”는 건의문을 지난해 10월 시의회에 전달하기도 했다.
양 박사는 특히 “이번 준설 목적은 항로 확보가 아닌 악취제거 등에 있으나 준설만으로는 이를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산성 바닷물을 중화시킬 수 있는 석회개선제를 살포하고 바닥을 갈아 산소를 공급하는 ‘경운정화’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도 “경운정화할 경우 준설비의 10분의 1정도로 사업을 마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구태여 막대한 돈을 들여 하수종말처리장 가동 전에 사업을 시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학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하수처리시설 준공 뒤로 사업을 미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하수종말처리장이 가동될 것으로 보고 이미 예산을 확보해 이같은 결과를 빚었다”며 “예산을 반납할 수 없는 만큼 시공업체에서 사업은 계속한 뒤 하수종말처리장 가동 뒤 무료로 추가 정화키로 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