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시내버스 노.사간에 임금협상 결렬에 대비해 오는 9월 1일부터 예고되어 있는 시내버스 파업대비 비상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비상수송을 위해 전세버스 500대를 확보하여 운행구간, 운행대수, 배차간격, 배차시간 등 세부운행 계획을 수립하여 수송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또 시내버스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자가용 유상운송허가, 택시부제 해제, 마을버스와 지하철 증회운행, 승용차 요일제 해제 등 시민불편 해소를 위한 모든 조치를 동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파업으로 인한 대중교통 혼란을 막기 위해 시와 자치구 공무원 1,100여명을 시내버스 기종점에 투입하여 차량운행 지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이밖에도 시는 파업에 대비하여 지난 28일부터 24시간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으며, 파업이 돌입되는 오는 9월 1일부터는 행정 부시장을 대책본부장으로 전남지방노동청, 전남지방경찰청등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구성된 비상수송대책상황실을 24시간 가동하여 시민들의 교통불편 최소화에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이와관련, 박광태 광주시장은 29일 간부회의에서 “시내버스 파업이 발생할 경우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준공영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관련부서에서는 시내버스 노사간 임금협상이 원만히 타결될수 있도록 인내심을 가지고 중재역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시내버스노조는 8월 29일부터 30일까지 파업찬반투표를 벌여 조합원들의 지지를 얻을 경우 오는 9월 1일 새벽 4시부터 예정대로 전면파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광주 박 경 헌 기자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