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와 도로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으며 차바퀴 마찰음과 교통체증 없이 시속 160㎞ 이상으로 달릴수 있는 '지능형 고속도로'가 오는 2016년까지 개발된다. 정부는 2일 오전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주재로 '제2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하이웨이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안' 등 5개 안건을 심의, 의결했다. '스마트 하이웨이'는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건설 기술과 첨단 IT기술 및 자동차기술을 결합하여, 이동성·편리성·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고기능·지능형 차세대 고속도로를 말한다. 정부는 설계속도 시속 160km 이상의 스마트 하이웨이를 개발하기 위해 2016년까지 모두 1494억원을 들여 핵심요소기술 개발과 기술개발 성과 검증 및 실용화의 2단계로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차 바퀴 소음방지 및 배수 촉진 포장기술 ▲도로 상태 실시간 계측 기술 ▲교량 등 도로 부속물 수명 연장 기술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기술 ▲교통제어 기술 ▲미래형 첨단 자동차의 안전주행 지원 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개발돼, 스마트 하이웨이에 적용된다. 소요 예산은 정부 1046억원, 민간 448억원으로 분담하여 조달하고 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비용은 전액을 사업시행자가 부담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달 안에 사업 총괄기관과 사업단장가 선정되고,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된다. 스마트 하이웨이가 개발되면, 무사고·무정체 고속도로를 실현하여 국내 거점도시 간 이동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자동차 등 관련 산업에의도 큰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까지 에너지 수요 5%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 계획이날 회의에서는 세계 10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인 우리나라가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미래 에너지 시장 선점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위한 방안인 ‘기후변화대응 연구개발 현황 및 향후 추진안’도 심의, 의결됐다. 정부는 2006에서 2010년 동안 모두 1조 9462억원을 친환경 에너지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관계부처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후변화 대응 연구개발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또 2011년까지 에너지 수요의 5%를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실증·보급의 연계를 강화하고, 이산화탄소 저감에 가장 직접적 방법인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의 기초·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2015년까지 에너지 최종 소비량의 5%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동물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실천방안'도 의결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을 보호하고 윤리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동물실험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을 제정하고, 2012년까지 대학, 국·공립 연구소 및 기업부설연구소 등에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단계적으로 설치하기로 했다.
- TAG
-